로그인
회원가입
메뉴 준비 중입니다.
HOUSE
검색
RSS
포인트정책
HOUSE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전체 623건 / 26 페이지
전체
house
living
culture
인기
2016.04.22
따로 또 같이 살아가기, Three.one House
전북 진안에 위치한 깊은 산속 대안학교. 그곳에 세 명의 선생님이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게 될 아담한 보금자리가 완성되었다.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따로 또 같이 살아가는 그들의 집을 소개한다. 구성 김연정 사진 황효철 ▲ 세 명의 선생님 가족들이 함께 거주할 대안학교 사택의 외부 ▲ 세 집의 거실을 관통해 남측 외부공간까지 연결되는 터널을 만들었다. ELEVATION ▲ 크지 않은 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집을 세로로 분할했다. ◀ 대지와 접한 세 집은 각각 개인적인 마당과 독립된 입구를 가진다. ▶ 남측에서 바라본 건물. 색이 다른 벽돌로 은은한 문양을 만들었다. 이 공간은 함께 사는 선생님들이 서로 쉽게 만날 수 있는 통로가 되고, 선생님과 아이들이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모임의 공간이 된다. 또한 기능적으로 ‘작은 집’의 한계를 극복해 ‘큰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 세대 간의 과감한 연결은 이곳에 함께 사는 대안학교의 선생님들이 집을 개인적인 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학교와 아이들과 더 많이 접촉하기 위한 ‘열린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전라북도 진안, 그중에서도 모랫재 고개를 넘어 산길을 구불구불 돌아서 도착해야 하는 산속에 십수 명의 선생님과 수십 명의 아이들이 가족과 같은 공동체를 이루며 가르치고 배우는 대안학교가 있다. Three.one House는 이곳의 선생님들을 위한 사택을 짓는 프로젝트이다. 집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집은 세 분의 선생님 가족들을 위한 곳이다. 하지만 대지에서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건축면적이 약 32평 정도로 두 개 층으로 하더라도 총 64평밖에 되지 않았다. 따라서 한 집당 약 21평의 공간으로 어떻게 집을 나누느냐가 첫 번째 고민이었다. 이에 우리가 선택한 방법은 세 집을 세로로 나누는 방식이다. 우선 각 집이 균질하게 개인적인 마당을 가질 수 있고 통풍과 환기에 유리하며 구조 및 단열에도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고민한 것은 작은 집이 가지고 있는 공간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해서 더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느냐에 있었다. 이곳에 사는 선생님들은 이 집을 단순히 개인적인 공간으로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을 비롯한 학교 안의 구성원들과 더 많이 만나고 접촉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 되기를 바랐다. 따라서 물리적·심리적으로 더 넓은 공간, 열린 집이 필요했다. 집과 집 사이에는 가변적 벽체를 두어, 필요에 따라 열린 공간으로 사용 가능하다. SECTION HOUSE PLAN 대지위치 : 전라남도 진안군 부귀면 지역지구 :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대지면적 : 532㎡(160.93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건축면적 : 106.09㎡(32.09평) 연면적 : 197.92㎡(59.87평) 건폐율 : 19.94% 용적률 : 37.20% 최고높이 : 8.14m 공법 : 경량목구조 구조재 : SPF 구조목 지붕재 : 아스팔트싱글 단열재 : 유리섬유 R19 + 38㎜ 에너지세이버 외벽마감재 : 벽돌 + 스타코플렉스 내벽마감재 : 도장(던에드워드) 창호재 : PVC system 창호 시공 : Max Min House(원오연빌더 http://blog.naver.com/wonbuilder) 설계 : JYA-RCHITECTS 070-8658-9912 www.jyarchitects.com건축비 : 3.3㎡(1평)당 400만원(다락 포함) ◀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실의 심플한 모습 ▶ 방과 욕실로 구성된 2층은 지극히 사적인 공간이다. PROCESS◀ 각 선생님의 취향에 따른 컬러를 집안 곳곳에 반영하였다. ▶ 개방감이 느껴지는 1층 내부 전경 PLAN – ATTIC / PLAN- 2F / PLAN – 1F INTERIOR SOURCES 바닥재 : 동화 크로젠 강화마루 욕실 및 주방타일 : 한양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바스 주방가구 : 한샘 조명 : SAMIL / LIMAS 데크재 : 하드우드(멀바우) ▲ 지붕의 높이를 조정한 덕분에 각 집에는 다락공간이 마련되었다. 우선 개인적인 공간인 침실과 방과 욕실을 2층으로 올리고,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공간인 거실과 주방을 1층에 배치하였다. 그리곤 이 세 집의 거실을 관통해서 남쪽의 외부공간까지 연결시키는 터널(Tunnel)을 만들었다. 이 터널 공간은 집과 집사이의 가변적인 벽체를 통해 만들어지며, 함께 사는 선생님들이 서로 쉽게 만날 수 있는 통로가 될 뿐만 아니라 선생님과 아이들이 모일 수 있는 모임공간이 된다. 이로써 작은 집의 한계를 극복하고 필요에 따라 큰 거실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물론 이 열리는 벽을 닫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세대 간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문틀에 차음용 고무패드를 시공하고, 차음제가 들어간 문을 이중으로 설치하였다. 즉, 인접한 두 세대가 함께 문을 열어야만 비로소 두 집사이의 벽이 열린다. 세 집은 모두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세 선생님들은 취향이 확연하게 달랐다. 덕분에 각각 다른 색과 아기자기함으로 채워지고 있다. 마치 흰 종이에 서로 다른 그림을 그려가듯이 그렇게 집이 완성되어가는 것이다. 결국 이 집은 세 개이기도 하지만 하나가 되기도 하는, 그런 집이 되었다. <글 _ 원유민> 건축가 집단 JYA-RCHITECTS원유민<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나눔고딕",NanumGothic,Sans-serif; mso-fareast-font-family
전원속의내집
조회 22,687
인기
2016.04.21
흙과 나무, 쇠로 지은 집 / 함박산 아래 너와집
두 팔로 감싸 안아도 모자란 굵기의 나무, 오로지 짚과 흙으로 치대 만든 벽돌, 여기에 철물로 제작된 장식을 더해 완성된 집. 진천-음성 혁신도시를 내려다 보는 전망 좋은 터에 자리한 흙벽돌집은 고풍스런 너와까지 올려 현대판 흙집의 정점을 보여준다.취재 이세정 사진 변종석충북 음성의 함박산 인근은 요즘 ‘진천-음성 혁신도시’ 개발로 가히 천지개벽 중이다. 과수원과 밭이 전부였던 이곳에 도로와 공원이 열을 맞춰 들어서고, 최신식 빌딩이 경쟁하듯 솟고 있다. 세종시 다음으로 큰 계획도시로 변모 중인 이곳을 개발 초기부터 지그시 관망 중인 집 한 채가 있다. 바로 2년 전, 신도시와 함박산 경계 터에 지어진 손영도 씨의 흙집이다. ▲ 뒤로는 나지막한 함박산 능선이 보이는 주택의 전경◀ 후면에는 다용도실로 통하는 문이 있어 텃밭이 더욱 가깝다. ▲ 너른 데크에 앉으면 새로 조성되는 도시 경관이 펼쳐진다. ▶ 기초가 워낙 높아 1층 창으로 보는 전경이 넓다.HOUSE PLAN 대지위치 : 충북 음성군대지면적 : 909㎡(275.45평)건물규모 : 지상 2층건축면적 : 133㎡(40.3평)연면적 : 182㎡(55.15평)건폐율 : 14.63%용적률 : 20.02%주차대수 : 1대최고높이 : 7.5m공법 : 기초 - 줄기초, 지상 - 황토벽돌쌓기, 목구조구조재 : 고벽돌 + 황토벽돌지붕재 : 서까래, 너와단열재 : 반죽한 진흙 30㎝외벽마감재 : 황토벽돌 메지 마감(돌가루)창호재 : 시스템창호설계 및 시공 : 인토문화연구소 031-886-7806 www.intocom.kr건축비 : 평당 약 600만원그는 오랜 서울 생활을 뒤로 하고 연고도 없는 음성으로 귀촌했다. 은퇴 후 도심에서 할 일 없이 지내기보단 땅을 밟고 텃밭을 일구며 살고 싶은 마음이 컸다. 마침 딸 내외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 마음에 맞는 땅을 구하고 집도 짓게 되었다.땅은 함박산을 뒤로 하고 맹동저수지에서 흘러내리는 작은 개울을 앞에 둔, 배산임수의 좋은 터였다. 여기에 노년의 안위를 생각해 흙집을 짓기로 마음먹었다. 이왕이면 시멘트가 섞인 성형 벽돌보다 전통 그대로의 방식으로 만든 흙벽돌을 찾고자 했고, 결국 인토문화연구소와 연이 닿았다. 인토문화연구소에서는 유압식으로 만든 인공 흙벽돌이 아닌 짚과 황토, 발효 추출액 등을 섞은 진짜 흙벽돌을 만든다. 자연 건조를 통해 젖었다 말랐다를 반복하며 벽돌 본연의 강도를 높이는, 생산부터 건조에 이르기까지 조상들의 제조 방식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재료가 마음에 든 건축주는 설계부터 시공까지 건축 전 과정을 인토문화연구소에 일임하게 되었다. ▲ 흙벽돌 사이 흰색 돌가루 줄눈을 넣어 외관이 환하고 경쾌하다.INTERIOR SOURCES내벽 마감 : 황토 몰탈바닥재 : 황토대리석욕실 및 주방 타일 : 주문제작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주방 가구 : 붙박이장조명 : 단조 주물등계단재 : 목재현관문 : 단조 제작(철사랑)방문 : 일반 주문창호붙박이장 : 주문제작데크재 : 더글러스퍼+오일스테인▲ 천장이 높아 개방감 있는 거실. 벽돌로 조적해 만든 벽난로 자리가 멋스럽다.◀ 파스텔 색 타일로 현대식으로 마련한 주방. 원목 싱크대와 천장 루버가 조화를 이룬다. ▶ 안방은 붙박이장과 침대만 두어 과한 장식을 배제했다.▲ 단조로 제작한 아치형 현관흙집은 기단이 높을수록 좋다.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 기초를 한껏 올리고, 외부 하단은 고벽돌로 쌓아 빗물이 튀어도 안전하게 조치했다. 나머지는 모두 천연 자재를 이용한 공정이다. 벽체는 황토벽돌 30㎝ 두께로 조적하고 줄눈은 백색 돌가루 모르타르로 채웠다. 지붕은 흙을 반죽해 30㎝ 두께로 올리고 단열재, OSB합판, 방수시트 작업을 한 뒤 너와로 마감했다. 너와 판은 최대한 많은 겹을 쌓아 방수에 대비함은 물론, 멀리서 볼 때 한옥의 지붕선 마냥 멋진 곡선으로 보이도록 매만졌다. 실내 역시 더글러스퍼의 웅장한 기둥과 보, 원목 서까래, 황토 벽면이 어우러져 흙집 본연의 아름다움을 뽐낸다. 2층까지 층고를 올린 거실에는 상량문이 적힌 거대한 대들보가 집의 중심을 잡고 있다. 특히 1층 벽면은 흙색 그대로 미장한 반면, 2층은 흰색 돌가루로 미장해 실내가 더욱 환하고 개방감 있다. 방 역시 면적을 시원시원하게 할애하고 붙박이장과 큰 창 말고는 별다른 장식을 배제했다. ◀ 2층은 흰색 돌가루 몰탈로 미장해 밝고 안정감 있다. ▶ 집에 아기자기한 볼거리를 더하는 장식들 ▲ 거실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난간을 통해 집의 웅장함을 바로 느낄 수 있다.흙집은 조명, 문, 소품 등 인테리어 요소를 결정하기가 까다롭다. 기성품들은 색이나 재질 등이 흙과 완벽하게 어우러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건축주는 이런 고민을 철을 이용한 단조 제작으로 과감히 해결했다. 현관문은 아치형 단조에 유리를 끼워 집의 첫인상을 답답하지 않게 하고, 각 실의 조명도 철제 갓과 펜던트를 이용해 통일감을 줬다. 직접 금속공예가를 수소문해 주문한 결과물들로, 건축주가 가장 흡족해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흔히들 흙집이 하자가 많다고 하지만 입주 2년 차, 건축주는 집에 대한 걱정거리는 전혀 없이, 오로지 정원과 텃밭 가꾸는 데만 온 신경을 쏟고 있다. 지난겨울 난방도 기름이나 가스는 일절 쓰지 않고, 화목보일러의 장작 비용만 들었다. 겨울 전 주문해 놓은 15톤 트럭 한 차의 장작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하루 한 번 장작을 넣는 일이 수고스러워서 그렇지, 원하는 만큼 따뜻하게 지내서 좋아요. 한여름에도 에어컨 없이 지낼 수 있으니 건강에도 좋고 전기 요금도 적게 들지요. 앞으로 마당 한켠에 작은 찜질방 하나 지어볼까 하고 있어요. 그 때도 우리집 흙벽돌은 꼭 쓰고 싶어요.”눈앞의 새로 짓는 도시는 분주하지만, 이 집은 시간이 머문 듯 고요하다. 집주인만이 새 꽃을 심고 밭에 씨를 뿌리느라 손이 바쁠 뿐이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6,532
인기
2016.04.21
다채로운 공간의 감성주택 / J-HAUS
단독주택에 대한 관심이 실로 지대한 시기를 살고 있다. 작은 집 열풍이 몰고 온 주택 건축이라는 화두는 이제 더 이상 나와 먼 이야기가 아니다. 그러나 집을 짓는 과정에서 온갖 어려움을 겪은 이들의 경험담을 듣다 보면 주저하게 되는 것도 사실. 여기 J-HAUS의 건축주는 우선 도전해 보라고 조언한다. 단, 좋은 건축가와 시공자를 만난다는 전제 하에. 취재 임수진 사진 변종석 ▲ 한쪽 경사 지붕으로 인근 주택의 박공지붕과 차별화를 꾀하는 동시에, 지붕부터 시작되어 건물을 감싸는 S자 형태의 라인을 계획한 J-HAUS. 그 사이에 침실부 매스가 끼워지는 형태로 인지성을 강조했다. ▲ 거실과 주방은 레벨 차를 두어 공간의 변화를 주었다. LEFT ELEVATION / FRONT ELEVATION / RIGHT ELEVATION▲ 남북으로 긴 대지에 남서향에 면해 있는 J-HAUS. 마당을 남쪽으로 넓게 내어 추후 활용도와 채광을 고려하였다. 부부침실은 마당 쪽으로 돌출되어, 한옥의 처마처럼 거실의 일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한다. 건축주는 지인과 어느 타운하우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던 중, ‘맘에 드는 집을 찾는 것보다 직접 지어보자.’라는 충동적인 생각에서 집짓기를 시작했다. 결혼 후 쭉 아파트에서 지내온 탓에 느껴지던 지루함은 우리 가족에게 꼭 맞는 구조의 공간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일으켰고, 여기에 건강을 위한 배려가 더해지면 더할 나위 없을 거란 결론이 나왔다. J-HAUS가 위치한 동탄지구는 건축주 가족이 본래 살던 지역과 멀지 않고 부부의 직장과도 가까운 곳이다. 또 주변에 타운하우스와 단독주택이 모여 있는 주택지이므로 생활하기에도 편안할 것이라는 안도감이 들었다. SECTION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화성시 대지면적 : 252.3㎡(76.33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건축면적 : 96.07㎡(29.06평) 연면적 : 156.42㎡(47.31평) 건폐율 : 38.08%(법정 60%) 용적률 : 62.00%(법정 150%) 주차대수 : 1대 최고높이 : 8m 공법 : 기초 – 철근콘크리트구조 지상 – 경량목구조 구조재 : 벽, 지붕 – 경량목구조 지붕재 : 0.5T 징크패널 거멀접기 단열재 : 그라스울 150㎜ 위 비드법 가등급 단열재 50㎜ 외벽마감재 : 스터코 플렉스 창호재 : 알파인 3중창 설계 : (주)지호도시건축사사무소 070-7643-1111 www.jihoarchi.com시공 : (주)춘건축 070-4197-2529 www.choonarchi.com총공사비 : 2억2천만원◀ 목조주택이므로 지붕에는 환기구를 설치하고, 바닥은 지면으로부터의 20㎝ 이상 이격하여 습기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는 데 주력했다. 마당과 레벨 차가 생긴 거실 앞 데크는 자연스레 툇마루의 역할을 하게 된다. ▶ 2층의 아이방과 부속실 매스 역시 돌출된 형태여서 지붕이 있는 주차 공간을 얻을 수 있었다. 건물 자체에 대한 욕심은 크게 없었기 때문에 주택의 외관에 대해서는 건축가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했다. 그저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실내에 친환경 자재를 사용할 것, 그리고 넓은 마당 정도였다. 비슷한 또래의 아이를 둔 건축가는 부모의 마음으로 설계를 시작했다. 젊은 건축주들이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제일 큰 이유가 바로 자녀들이 이웃의 눈치 안 보고 뛰어놀기 좋다는 점인데, 어린 시절 지냈던 옛집의 기억을 더듬어 더욱 다채로운 공간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다. 조부모의 한옥에서 보았던 대청마루, 낮게 패인 부엌의 아궁이에 불을 지펴 고구마를 구워먹던 유년의 기억을 아이들에게 전하고자 했다. 또한, 건축주가 크지 않은 집을 바랐기 때문에 적정 크기의 공간을 유기적으로 배치해 쾌적함을 제공하고 개방감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주방 - 거실 - 가족실 - 침실로 이어지는 동선의 흐름을 통해 전체적으로 큰 하나의 공간처럼 느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거실은 도로변인 남서쪽으로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였고, 남동쪽의 주방 및 식당은 마당과 면하여 쾌적함을 더한다. ▲ 모던하게 꾸민 주방. 거실 대면형 주방을 계획하여 항상 가족과의 소통이 가능하다. 보조주방 겸 다용도실과 보일러실까지 수납 공간도 풍부하다.거실과 주방으로 이루어진 공적인 공간을 지나면 온 가족이 모여 공부할 수 있는 가족실과 드레스룸으로 이루어진 중립적인 공간이 있고, 이를 거치면 가장 위쪽에 각자의 침실이 나타난다. 집의 한가운데에는 계단이 자리하여 각각의 공간을 스킵 플로어 형식으로 연결하는데, 철골구조와 목제 발판으로 제작된 계단은 시선을 통과시켜 보다 풍부한 공간감을 선사한다. 주방과 거실 사이에도 3칸의 계단이 놓여 단차가 존재한다. 6살, 3살배기 어린이가 사는 집에 이처럼 많은 계단이라니 위험하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앞서지만, 실상은 그 반대다. 아이들에게는 계단 자체가 하나의 놀이터가 되어 거실과 주방을 계속 오르내리며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때때로 가족실로 오르는 계단에 앉아 TV를 보면 거실은 작은 극장이 된다. 주택의 외관은 지구단위계획에 의해 경사지붕이 채택되었으며, 2층 안방과 침실의 매스가 1층 거실 위로 튀어나와 처마 역할을 대신한다. 따로 차양을 설치하지 않아도 계절에 따라 일사량이 조절되고 지붕이 있는 주차공간도 생겼다. INTERIOR SOURCES 내벽 마감 : 규조토 바닥재 : 마모륨 욕실 및 주방 타일: 자기질 타일, 도기질 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 스탠다드 주방 가구 : 자작나무 합판 조명 : 디에스엘 LED 계단재 : 철골계단 위 집성목 현관문 : 신진단열도어 방문 : 자작나무 합판 데크재 : 현무암▲ 손님의 방문까지 염두에 두고 계획한 식당. 남동쪽으로 자리하여 평소 밝은 채광이 특징이다.▲ 1층과 2층을 연결하는 공간이자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가족실. 북측으로는 드레스룸을 두어 수납을 고려하는 동시에 필요할 때 또 하나의 침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PLAN – 1F / PLAN – 2F▲ 순수천연원료 자재인 규조토와 마모륨 등을 마감재로 선택하고 모든 문과 주방가구, 하부수납장 등은 자작나무로 제작했다. 미국식 삼중 창호와 단열재를 이중으로 시공하는 등 신경을 많이 쓴 덕에 단독주택임에도 입주 후 따뜻한 겨울을 보냈다는 건축주. 지레 겁을 먹고 집짓기에 도전하지 못하고 있는 가족이 있다면 당장 시작해보라고 말하고 싶을 정도로 만족한다고 전한다. 보다 완성도 높은 집을 짓기 위해서는 미리 공부를 많이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덧붙인다. 마무리 단계에 가서야 몇몇 눈에 띄는 부분의 수정을 요청하여 시공사가 고생했기 때문이다. 얼마 전 심은 마당의 나무와 잔디는 이제 파란 잎이 돋아나고 있고, 담장과 대문도 곧 완성된다. 마당의 한쪽엔 작은 창고도 세울 예정이고 집 안 곳곳은 아직 소소한 가구들이 제자리를 찾는 중이다. 좋은 건축주와 건축가, 시공자가 모여 이루어낸 J-HAUS의 이야기가 이제 시작되고 있다. ◀ 침실층에 마련된 세탁실. 넉넉한 공간을 할애하여 생활에 편의를 더하였다. ▶ 가족실에는 마당에 면한 남측으로 테라스를 두어 중층에서도 외부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건축가 윤지호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설계학과를 거쳐 한섬건축, 건원건축, 동부건설에서 실무를 쌓았으며 현재 (주)지호도시건축사사무소 대표이다. 건축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제반 조건들을 신선하고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해 아우르고 해결하여 건축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건설회사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공상 설계의 문제점을 예방하고 향후 유지관리에 대한 부분까지 고려하는 설계가 특징이다. 청계천 교량 국제아이디어 공모전 최우수상(나래교)을 수상했으며, 주요작품으로 파주 운정지구 공동주택, 은평뉴타운 공동주택, 고기동 주택, 남양주 주택 등이 있다. 시공사 대표 오춘환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주)춘건축의 대표직을 맡고 있다. 다년간 목조주택 현장에서 실무를 쌓은 목조 전문가로서, 모든 공사과정마다 현장 회의를 통해 충분한 이해와 협의 후 시공이 진행되도록 하여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한다. 기밀 시공과 친환경 건축을 꾸준히 연구 개발 중이며 주요작품으로 가평 주택, 강화도 주택, 반송동 주택 등이 있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3,072
인기
2016.04.14
공간 분할을 위한 시도 House I
크지 않은 면적의 집에 공간 분리를 위한 아이디어를 더했다. 공간을 통해 가족이 서로의 생활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또한 이 집만의 매력적인 요소다. 취재 김연정 사진 Fumihiko Ikemoto ▲ 마을 속 이웃한 집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주택 외관 지붕을 떠받친 아치형의 내벽이 눈길을 끈다. ▲ 곡면을 이루는 구조체 사이에는 각각의 목적을 가진 공안이 위치한다. SECTION HOUSE PLAN 대지위치 : Tochigi, Japan 건물규모 : 지상 1층 대지면적 : 218.89㎡(66.21평) 건물면적 : 91.76㎡(27.26평) 연면적 : 91.76㎡(27.76평) 구조 : Wood Flame 최고높이 : 4.83m 구조설계 : Tatsumi Terado Structural Studio 디자인팀 : Hiroyuki Shinozaki, Sota Matsuura, Tatsumi Terado Structural Studio 시공 : Masuken,Inc. 설계 : Hiroyuki Shinozaki(Hiroyuki Shinozaki Architects) www.shnzk.com ▲ 화이트 벽과 나무 소재의 가구가 조화를 이룬다. ▲ 마치 거대한 조각품을 연상케 하는 내부 전경 ▲ 집의 가운데는 가족이 소통할 수 있는 공용공간이 된다. PLAN House I는 들판이 펼쳐진 주거지역에 위치한, 3인 가족을 위해 설계된 주택이다. 각각의 생활공간은 지역에서 캔 돌로 만든 석벽(石壁)과, 큰 지붕을 떠받치는 방사형 벽체를 통해 분할된다. 대지는 막다른 골목의 끝에 위치하고 있어 편안한 깊이감이 느껴질 뿐 아니라, 일종의 개방감도 함께 전달된다. 이곳에서는 이웃집 정원과 빨랫줄에 널린 옷가지들, 그리고 들녘까지도 보인다. 사람들은 서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정원에서 통상적인 인사를 나누고, 돌담 너머 각자의 집을 방문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계 파악을 통해, 주변 환경에 둘러싸인 채 그와 연결되는 주택을 설계하기로 했다. 이 주택은 단순히 닫힌 어떤 상자의 개념이 아니다. 어떤 장소에서는 담이 출입구를 가진 외벽의 역할을 하지만, 또 어떤 곳에서는 주변 풍경이 보이는 돌담 역할을 한다. 내벽들은 변형된 담 속에서 방사형으로 퍼져나간다. 가족은 불규칙한 거리를 두고, 모였다 떨어졌다를 반복하며 방사형 벽 뒤로 만들어진 공간에서 생활하게 될 것이다. 커다란 지붕을 떠받치는 방사형 벽들은 다양한 크기의 빈 공간을 만들어 내며, 주택 중앙에는 아치형 개구부가 있는 에워싸인 공간이 생긴다. 커다란 지붕의 경사와 변형된 담은 투시적인 공간을 강조하고, 가운데서 퍼져나가는 것처럼 보이거나, 중앙으로 모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중성을 갖는다. 건축가 Hiroyuki Shinozaki 일본 도치기현(Tochigi) 출신으로, 교토공예섬유대학과 도쿄예술대학교에서 학업을 마쳤다. Toyo Ito Associates에서 실무를 익히고, 2009년 도쿄에 기반을 둔 Hiroyuki Shinozaki Architects를 개소하였다. 건축을 비롯해 인테리어, 가구디자인까지 다양한 분야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8,112
인기
2016.04.07
주거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9×9주택
기존 거주 공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 그리고 또 다른 가능성을 위한 건축가의 첫 실험. 70대 여류화가가 거주하게 될 최소의 주택 프로젝트를 만나본다. 취재 김연정 사진 김재경▲ 일정한 모듈의 다공으로 구성된 전면 파사드 ◀ 천장의 다공이 외기에 면해 있어 적당한 빛을 받고, 비와 눈이 내릴 때면 안과 밖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다공 사이로 새어나온 불빛이 인상적이다. 완벽한 기하학 평면으로 출발한 이 프로젝트는 나의 첫 주택 작업이다. 오래 전 건축가 루이스 칸이 트렌트 탈의장(Trenton bath house, 1955)을 통해 팔라디오의 9분할 기하학체계를 단위 공간의 가능성으로 보여준 것처럼, 기하학이 언제나 또 다른 가능성을 낳을 수 있다고 믿어 왔다. 동시에 거주의 본질에 다가갈 7가지 통로인 ‘자연, 장소, 경계, 거리, 행위, 가구, 최소의 건축’의 발견을 통해 주거 안에서 삶과 어떻게 밀착되어 주택으로서 작동할지에 대한 첫 실험 작업의 의미 역시 담고 있다. 이 주택은 70대 여류 화가를 위한 최소의 거주와 작업 공간, 그리고 갤러리로 구성된 2층 규모다. 마치 만다라(Mandala : 불교에서 우주 법계를 나타내는 둥근 그림)의 형상과 흡사한 9×9는 절대적 기하학의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공간구조의 가능성을 위한 설정이다. ▲ 가변적인 정원 건물 전면 다공으로 구성된 파사드 이면에 설치된 폴딩은 정원에 두 가지 성격을 부여한다. 폴딩을 열었을 땐, 다공 사이로 들어오는 정경이 중정과 결합되어 외부 공간이 연속된 것 같은 외향적인 정원이 된다. 반면, 폴딩과 내부 가구의 모든 무빙 월을 닫게 되면 은밀하고 내향적인 정원으로 바뀐다. 1층은 각각의 정의된 영역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공간이다. 당초 1층은 70세 여류화가를 위한 최소의 작업공간이었으나 2층이 자녀부부공간으로 변경되면서 노모의 주생활공간으로 바뀌었다. 2층은 세 가지 레이어와 중정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최소의 개구부와 투명성을 위한 다공의 외벽으로 구성된 가로·세로 9m라는 절대 기하학의 상징적 경계(건축의 원형)를 설정하고, 두 번째는 가구에 의한 정의된 영역을 역전하고자 주요 개념인 Furniture Corridor가 적용되었다. 세 번째 레이어는 바닥 레벨의 차이로만 영역이 구분된다. Glass wall로 구성된 벽체는 중앙에 있는 중정을 따라 내·외부의 경계를 흐리고 묘한 거리감을 자아낸다. 이 레이어는 가구 사용 빈도에 따라 영역이 정의되거나 임의적 영역이 되기도 한다. 방과 방 사이의 경계는 물리적인 벽 대신 외부현상의 또 다른 경험을 하게 된다. 중정은 완전히 외기에 개방되어 있는 것이 아닌 Glass wall의 요철로 구성된 세 번째 레이어 사이마다 부분적으로 천장에 다공이 있어 그 부분만 외기에 접한다. 지붕층에는 외벽의 개구부 모듈과 동일한 1.8m×1.8m, 1.2m×1.2m 사이즈의 다공이 외기에 열려 있거나 천창으로 계획되었다. 이는 외부에서 경험할 법한 현상을 내부로 끌어 들이기 위한 것이다. PLAN – 1F / PLAN-2F / PLAN–ROOF1 ENTRANCE / 2 PORCH / 3 GALLERY / 4 TERRACE GARDEN / 5 WORK PLACE / 6 BATH / 7 UTILITY ROOM / 8 GARAGE / 9 STORAGE / 10 FURNITURE CORRIDOR / 11 VARIABLE AREA / 12 COURTYARD▲ 천장을 통해 바닥에 떨어진 빛은 보이지 않는 경계의 그림자를 드리운다. HOUSE PLAN 대지위치: 경기도 양주시 지역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195.00㎡(58.99평) 건축면적: 78.32㎡(23.69평) 연면적: 93.24㎡(28.21평) 건폐율: 40.16% 용적률: 47.82% 규모 : 지상 2층 주차대수: 2대 높이: 6.3m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스터코플렉스 내부마감: 석고보드 위 도장 구조설계: 티섹구조 엔지니어링 사무소 시공: 류승환 설계: 정영한+스튜디오 아키홀릭 02-762-9621 www.archiholic.comSECTION▲ 퍼니처 코리도(Furniture corridor) 가구 배치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서 고정된 행위를 역전하고자 하는 이 주택의 핵심적인 개념이다. 주택에서의 모든 기능적 산물과 행위 등을 동시에 수납하는 것으로, 각각의 크기가 다른 가구 스케일에 의해 750~1,000㎜ 범위로 설정되었으며 초기에는 급·배기 및 환기, 냉·난방 설치까지 매입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무빙 월이나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에 따라 그 가구에 면한 영역의 기능이 가구 사용에 의해 정의된 영역(Define area)이 되고 가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영역들 자체가 자유롭게 사용자에 의해 정의(Arbitrary area)되거나 그 영역이 전체적으로 통합되는 가변성을 가진다. ▲ 외부의 경관이 중정의 정원과 만나 외부로 확장된다. ▲ 침실은 마치 원시적 주거의 경험을 하듯 내·외부의 경계가 모호하다. ▲ 안과 밖이 소통하는 중성적인 계단실 공간 ▲ 9×9 DIAGRAM / 6×6 주택 프로젝트 / POROSCAPE이 프로젝트는 기존 주거 공간에서의 영역·가구·경계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또 다른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첫 번째 거주에서의 영역은 가구에 의해 정의(Define)되어 있다. 즉 가구의 기능이 영역을 정의하여 소파와 TV가 놓인 곳은 거실로, 식탁이나 주방기구가 놓인 곳은 주방, 양변기와 세면대가 놓인 곳은 화장실, 침대가 놓은 곳은 침실로 각각 정의되어 있다. 이를 탈피하고자 퍼니처 코리도(Furniture Corridor)란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영역을 능동적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폭 600~800㎜의 퍼너처 코리도는 ‘최소 기능의 수납’이라는 장치로서, 주거에서 가구, 위생, 전기와 설비, 환기 및 냉·난방 시스템을 수납하고 있다[현재 진행 중인 또 다른 6×6 주택 프로젝트(그림 중앙)에서 퍼니처 코리도는 계단, 애완견, 조경까지 수납의 기능을 확대해 수직적으로 표현된다]. 이 장치에 각각 접해 있는 영역은 퍼니처 코리도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나 무빙 월의 개폐 여부에 따라 어떤 가구를 사용하느냐로 그 기능이 정의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다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는 가변의 영역이 된다. 두 번째 거주에서의 경계는 가구로 정의된 영역을 물리적인 벽에 의해 나뉘어 전통적인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며 동시에 집과 외부정원 역시 내·외부의 경계가 명확하다. 그러나 이 실험주택에 적용된 가로 9m와 세로 9m는 기하학의 엄격한 경계의 설정(건축의 원형)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1.8m×1.8m, 1.2m×1.2m의 2가지 크기로만 구성된 다공(POROUS)에 의해 실상 내·외부의 경계가 해체되어가길 의도한 것이다. 우리는 이미 ‘POROSCAPE(그림 우측)’라는 또 다른 프로젝트에서 전면 파사드에 적용된 1.8m×1.8m 크기의 다공을 통해 ‘다공성에 의한 투명성’을 시도한 바 있다. 주변 외부 경관은 다공을 통해 차경된 풍경이 내부 중정의 정원과 만나 9×9의 기하학 영역 설정인 물리적인 외벽이 서서히 해체되어, 마치 태초의 자연 속 거주 풍경을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 <글 _ 정영한> 건축가 정영한 한양대 대학원 건축과를 졸업하였다.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를 거처 (주)롯데건설에서 3년간 해외프로젝트를 경험한 뒤 귀국 후 (주)Y건축연구소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2002년 스튜디오 아키홀릭을 개소하여 현재까지 다수의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13년 ‘체화의 풍경’으로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하였고, 장기 기획 전시인 ‘최소의 집’의 총괄기획을 맡아 대중과 건축의 접점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주요작품 : 린(LINN), 더 라이트 컨테이너, 더 쉐이드 컨테이너, 보이지 않는 벽, 체화의 풍경 외 다수※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9,557
인기
2016.04.05
큰 하늘을 담은 호숫가 작은 집
남자에게 집짓기는 가장 재미있는 취미라던가. 공구를 들고 무언가를 만드는 성취감이 그들에게는 놀이가 되고도 남음인가 보다. 여기, 50대 남자가 경치 좋은 호숫가에 지은 작지만 알찬 집을 찾았다. 취재 편집부 사진 변종석 ▲ 호숫가 작은 집 작은 호수 앞 작은 땅. ‘집 지으면 참 좋겠다’ 싶어 찜을 해둔 그곳에 결국 집을 지었다. 평생 무언가를 만들고 가꾸는 게 취미인 건축주다. 첫 집을 짓고서도 끊임없이 안팎을 단장해온 그는 몇 년 전에도 마당 한편 남는 땅에 자그마한 황토방을 만들었고, 정원을 가로지르는 디딤석도 두어 번이나 바꾸었다. 돈이 많아서도 아니고 시간이 남아서도 아니다. 그저 머릿속에 그린 생각을 실제로 만들어가는 과정이 즐거울 뿐이라는 부지런한 사람이다. 디딤석 하나 까는 것도 이토록 열심인데 땅을 다지고 기둥을 세워 만드는 집짓기를 하면서는 얼마나 더 즐거웠을까. ▲ 남쪽 지방에 지어진 남향의 주택은 한겨울에도 따뜻한 볕이 깊숙이 든다. ▲ 다양한 크기와 경사의 다채로운 지붕선을 가진 집 HOUSE PLAN 대지위치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대지면적 : 221㎡(66.85평) 건물규모 : 지상 1층 건축면적 : 54㎡(16.34평) 연면적 : 54㎡(16.34평) 건폐율 : 24.43% 용적률 : 24.43% 주차대수 : 1대 최고높이 : 5.7m 공법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지상 – 경량철골구조 구조재 : 경량철골구조 지붕재 : 150㎜ 샌드위치 패널, 온두린 온두빌라 단열재 : 이중 샌드위치 패널, 10㎜ 폴리카보네이트, 합판 위 석고보드 외벽마감재 : 시멘트 사이딩 창호재 : PVC창호 2중 설치 설계 : ㈜서강건축사무소 055-587-9962 시공 : 세기토건 010-2033-3294INTERIOR SOURCES 내벽 마감 : 편백, 포인트 벽돌, 타일 바닥재 : 강화마루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 주방 가구 : 하이그로시 UV코팅, 인조대리석 상판 조명 : 삼파장 조명 계단재 : 집성목 현관문 : 방화도어 방문 : ABS도어 데크재 : 방부목 위 오일스테인‘그림 같다’는 말이 절로 나는 땅에 지어진 16평 남짓한 작은 집은 보기와 달리 있을 건 다 있다. “아내와 둘이 살기에는 이것도 넉넉합니다” 웃음기 가득한 건축주의 말대로, 호수가 내다보이는 너른 거실과 간소한 주방, 그리고 작은 방과 앙증맞은 뻐꾸기창을 가진 다락까지. 집의 크기가 문제가 아니라 집이 품은 자연이 넉넉했다. 규모를 줄여 상당 부분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욕심을 부려야 하는 부분에는 아끼지 않았다. 철골로 뼈대를 세우고 단열재를 겸하여 샌드위치 패널로 벽체를 구성했다. 경상남도 함안, 따뜻한 남쪽이지만 그래도 추운 겨울 칼바람 한줄기라도 들어올까 싶어 안과 밖, 이중으로 패널을 둘렀다. 창문도 이중 PVC창을 두 세트씩 시공했으니 안팎으로 그야말로 꽁꽁 싸맸다는 말이 옳겠다. 창밖으로 보이는 멋진 풍경을 포기할 수 없어 그만큼의 공을 들인 것이다. 창과 창 사이의 공기는 자연스레 단열층이 되어준다. 엑셀 파이프 배관을 하기 전에도 겨울철 온실을 덮는 담요를 제일 하단에 깔아줬다고. 주요 에너지 공급장치인 화목 보일러에 쓰이는 나무는 지천으로 널렸다. 물론 규모와 비교하면 건축비는 만만치 않게 들었다. 하지만 워낙 크기가 아담하기 때문에 총비용은 7천만원을 넘지 않는다. ◀ 계단 밑에는 싱크대와 크지 않은 식탁이 놓인 공간이다. ▶ 내부는 편백과 포인트 벽돌로 마감해 전원의 아늑한 느낌을 풍긴다. ▲ 어디든 외부와 소통할 수 있게끔 트여있는 실내 HOUSE COST 토공사 및 철근콘크리트 공사 5,997,000 철골공사 5,660,000 샌드위치패널공사 8,906,000 창호공사9,500,000 미장, 타일, 방수공사 4,700,000 내장공사 6,000,000 수장공사 8,700,000 설비공사 7,650,000 전기, 소방, 통신공사 3,540,000 데크공사 2,500,000 폐기물 처리 및 기타 2,000,000 합계 65,153,000 ◀ 안방은 편백으로 마감했다. 목공과정에서 침대 프레임도 새로 짰다. ▶ 다락은 뻐꾸기창과 급경사의 지붕선으로 작지만 재미있는 공간으로 완성되었다. ◀ 건물 배면 창고에 설치된 화목보일러 ▶ 이중창을 두 겹으로 시공한 창틀 지붕재로 온두빌라를 택한 이유는 무거운 기와를 얹기에는 규모가 너무 작고 균형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덕분에 산뜻한 지붕이 주는 경쾌함은 작은 집에 아기자기함을 완성하는 포인트가 된다. 건축주는 집의 외관이 심심해지면, 언제든지 시멘트 사이딩을 노란색이나 파란색으로 칠할 수도 있다며 벌써부터 일거리를 찾아낸다. 구조와 재료, 크기를 모두 통틀어서 감당할 수 있는 집을 지어야 한다는 것이 건축주가 오래 전 첫 집을 짓고 얻은 교훈이다. 그때 느낀 점을 충분히 반영해 지은 아담한 이 집에서 이제 그는 이 집을 지으며 누린 행복을 마음에 품고, 그보다 더 넓은 자연을 집에 품으며 그림처럼 살아갈 것이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0,475
인기
2016.04.05
청고벽돌로 쌓아올린 상가주택의 품격
광교 신도시에 새로이 조성된 카페거리는 다양한 상가주택을 볼 수 있는 전시장이다. 거리 초입에 위치한 땅에 들어선 이 주택은 대지가 가진 다양한 조건을 분석하고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풍경을 고민해 디자인된 품격 있는 건물이다. 취재 편집부 사진 변종석 ▲ 광교 카페거리 초입에 위치한 건물은 청고벽돌로 마무리되어 진중한 분위기를 풍기며 거리의 시작을 알린다. 대지의 위치는 광교 택지개발지구 중 이주자 택지로 1층에 근린생활시설과 나머지 층에 다가구주택을 지을 수 있는 땅이다. 이 용도의 땅에는 지구단위계획지침이 있어 건축 가능한 규모에서부터 층수, 면적, 세대수와 주차의 진출입 동선과 다락 및 경사지붕 등 세부적인 사항까지 까다롭게 규정된다. 이곳에 집을 짓고자 한 건축주의 요구는 명확했다. 최대 면적에 최소의 비용으로 최고의 임대수익을 올리는 것. 상층부에 거주할 건축주의 집은 보기에도 좋고 쓰기에도 편한 집으로 지어줄 것. 여기에 공사비 일부를 대출받아야 하는 경제사정을 고려해 국민임대주택 기준에 맞춰 전용면적 조건을 맞춰줄 것이 그 전부였다. ▲ 주출입구쪽에서 바라본 주택의 입면 대지는 정남향에 가깝고, 옆 건물과 붙어있는 서쪽을 제외한 3면이 도로나 공지(空地)와 접한다. 땅 모양은 사각이 아닌 코너가 조금 돌출된 모퉁이 땅으로 보아야 했다. 우리는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지구단위계획지침에 따르되, 도시의 코너 땅이 가지는 매력을 살려 주변과 어울리면서도 색다른 거리 풍경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또한, 건물을 층별로 혹은 면으로 잘게 쪼개는 방식보다는 공간과 조형을 구성하여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큰 흐름 속에서 지면부터 지붕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덩어리를 만들고자 했다. 설계는 땅이 가진 유형과 무형의 힘과 분위기에 대한 순응과 저항에서부터 출발했다. 건물을 지을 당시에는 주변 건물도 하나둘씩 올라서고 있었다. 예상되는 양옆 건물의 입면 흐름을 건물에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모퉁이에 면한 부위를 돌출되게 처리해 입체적이면서도 볼륨감 있는 입면을 만드는데 집중했다. ▲ 옆 건물과의 균형을 맞추면서도 코너부위를 돌출 처리해 입면과 평면을 풍성하게 만든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 카페거리 내 대지면적 : 281.8㎡ (85.24평) 건물규모 : 지상 4층 건축면적 : 163.52㎡(49.46평) 연면적 : 505.21㎡(152.82평) 건폐율 : 58.03% 용적률 : 179.28% 주차대수 : 5대 최고높이 : 16.0m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지붕재 : 리얼징크 단열재 : 압출법보온판 외벽마감 : 청고벽돌, 갈바스틸 위 불소수지도장 창호재 : PVC이중창, PVC시스템창호 설계 : ANM 김희준 02-732-0382 www.studioanm.com시공 : ㈜에스앤씨건설 02-464-9100 건축비 : 3.3㎡(1평)당 420만원 SECTION1층 상가는 도로에 최대한 면하고 개방감이 있어야 임대 선호도가 높아진다. 이에 도로에 접하는 1층 대부분을 임대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주택 진입로는 북동쪽에 배치했다. 동쪽의 보행자 도로로 진입하게 하여 자연스럽게 상가와 주거가 분리되는 동선이다. 중간층의 다가구주택은 모든 세입자가 각기 다른 평면을 가진다. 이때 대원칙은 거실 등 공용공간을 무조건 남쪽으로 배치하고 외부의 테라스와 여유 공간을 두어 개방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또, 폭이 좁은 세대는 복층형으로 구성해 협소함을 확장된 공간감으로 보완했다. ◀ 벽돌을 어슷하게 쌓아 입면에 잔잔한 음영을 주었다. ▶ 모퉁이에 면한 상가주택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 INTERIOR SOURCES 내벽마감 : 석고보드 위 실크벽지, 페인트 바닥재 : 온돌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자기질타일 주방가구 : 하이그로시 마감 계단재 : 지정원목 ▲ 지붕의 다양한 경사면이 실내에 고스란히 비쳐, 다이나믹한 천장을 갖는 내부공간이 완성된다. ▲ 거실과 주방, 외부 발코니는 적절하게 거리를 두며 공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 기둥은 실내에 수직감을 더하는 건축요소다. ▶ 작은 아이 방은 필요한 것으로만 채우고 그 외 활동은 공용공간에서 한다. ▲ 광교 시내와 야트막한 동산을 경치로 품은 안방 주인세대가 거주하는 최상층은 경사진 지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다락을 만들고, 내부공간을 수직적으로 개방감 있게 처리했다. 또한, 외부의 데크 테라스와 실내 사이를 벽이 아닌 유리로 구분해 시각적으로 넓게 트인 수평적 확장을 꾀했다. 외부마감에 쓰인 청고벽돌을 지그재그로 쌓아 자연스럽게 건물의 외관을 풍성하게 만들면서도, 건물 안쪽에서는 자연스럽게 담벼락으로 인식되도록 했다. 여기에 구멍 나게 쌓은 벽돌이 투시형 난간과 같은 효과를 주는데, 멀리서 보기에 실내의 불빛이 언뜻 비치는 분위기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부에서는 벽돌 틈새로 주변의 풍경이 언뜻 비쳐 주변과 단절되지 않고 열려있는 느낌을 준다. 가장 큰 어려움은 경사지붕의 처리였다. 지침에서는 도로에서 되도록 경사면이 보이게 즉, 경사지붕 면을 동쪽과 서쪽으로 잡을 것을 권고한 데 반해 우리는 대지의 상황과 건물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이에 어울리는 경사를 만들었다. 당연하게도 디자인 심의 과정이 녹록지 않았다. 몇 번의 설득과 재심 끝에 디자인이 통과되었고, 결국에는 도로에서 지붕의 다이내믹한 모습이 잘 보일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보는 위치에 따라 건물이 다르게 보이는 입체적인 건물을 만들 수 있었다. <글 _ 김희준> ▲ 최상층 발코니는 사선 벽면으로 보는 위치에 따라 도시 풍경이 달라진다. 건축가 김희준다양성과 차별성만을 강조하며 기술적이고 방법론적인 것에 치우친 건축적 경향 속에서 건축가 김희준은 현실적이면서도 정직한 건축적 관계들을 탐색한다. 건축주의 요구와 건축가의 의도 사이에서 균형잡힌 작업을 추구하며 품위를 디자인하기 위해 노력한다. 주요작품으로는 묵리주택과 마나스갤러리, 일월암 객실이 있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7,003
인기
2016.03.29
가족의 편안한 일상과 함께하는 목조주택
양평 용문산에서도 산세가 수려한 연수리 쪽은 예로부터 별장이나 주말주택 집터로 각광을 받아 왔다. 경사진 대지로 조망이 좋고, 남향의 따스한 볕이 하루 종일 드는 집. 지난해 지어져 이제 막 첫 겨울을 보낸 목조주택 한 채를 소개한다. 취재 이세정 사진 변종석▲ 집의 정면은 외쪽 지붕들의 경쾌한 리듬선이 돋보인다. ▲ 경사진 대지의 단차를 극복하고 더 나은 조망을 얻기 위해 기초를 높였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양평군 연수리 대지면적 : 596㎡(180.29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건축면적 : 1층 85.30㎡(25.8평) / 2층 28.02㎡(8.4평) 연면적 : 113.32㎡(34.28평) 건폐율 : 14.31% 용적률 : 19.01% 주차대수 : 2대 공법 : 경량 목구조 2×6 구조재 : SPF 2×6, 2×4 지붕재 : 이중그림자 싱글 단열재 : JM인슐레이션 외벽마감재 : 파벽돌, 시멘트사이딩 창호재 : Alpine 시스템창호 내벽 마감 : 실크벽지 바닥재 : 강화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터키산 타일 설계 및 시공 : 오색나무집 070-8876-2195 http://cafe.naver.com/fivecolortree◀ 단지 맨 끝에 자리한 집은 필지 앞 멋진 소나무를 감상할 수 있는 좋은 뷰를 가졌다. ▶ 앞마당 가장자리는 목재 데크로 둘러 정원 관리의 부담은 줄이고, 석축의 위험을 방지한다. 문을 열자마자 훈훈한 공기가 몸을 에워싼다. 창밖은 눈발이 잔잔하게 날리는 2월 중순의 날씨지만, 실내는 반팔로 생활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따뜻했다. “올겨울 기름 한 방울 쓰지 않았어요. 겸용으로 둔 화목보일러에 하루 2번 장작만 넣으면 충분해요. 더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 2층도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어요.” 건축주 조희송 씨는 집의 단열성능에 만족을 표했다. 양평 인근에서 철근콘트리트주택, 조적조주택 등 두루 지내봤지만, 목조주택이 최고라고 손을 치켜든다. 물론 전제는 있다. “목조주택은 어떻게 짓느냐에 따라 성능이 하늘과 땅 차이인 것 같아요. 그런 내용을 미리 알고 잘 짓는 건축회사를 찾느라 수소문을 많이 했어요. 결국 경북 영주까지 직접 찾아가 건축을 맡겼으니까요.”▲ 지붕 구조를 그대로 살린 거실 천장. 남향의 전면창으로 종일 따뜻한 볕이 들어온다.용문산 자락 수려한 골짜기에 자리한 터는 조씨가 직접 단지를 개발해 분양하고 있는 땅이다. 정남향에 조망까지 좋아 필지 분양은 거의 마무리되었고, 본격적인 집짓기를 앞두고 단지 전체가 설레는 모습이다. 전원주택 단지는 어떤 집들이 들어서느냐에 따라 전체 분위기가 좌우되다 보니, 조 씨는 맨 처음 삽을 든 본인의 집에 유독 신경을 많이 썼다. 중소형 면적이지만 횡으로 길게 배치해 집이 커보이게 하고, 다양한 지붕선으로 외관에 개성을 줬다. 매스마다 색이 다른 인조석을 택해 조화를 꾀하고, 2층은 흰색 사이딩으로 날렵한 이미지를 더했다. 경사진 대지를 개발한 덕에 앞마당이 집터보다 약간 낮고, 또 그 아래는 2m 높이의 석축이 쌓여 있다. 석축 앞으로 철재 빔을 세워 마당을 둘러 산책길을 낸 것은 놓칠 수 없는 아이디어다. 이 길은 목재 데크를 따라 주변 산세를 감상할 수 있는 조망 포인트가 되고 있다. 바로 앞 필지에 자리한 수려한 소나무를 보는 재미도 빼놓을 수 없다. 건축주는 시세로 치면 1억원을 호가할 것이라 귀띔했는데, 아래 땅은 소나무를 그대로 살려 건축할 방도로 즐거운 고민 중이란다. ▲ 콤팩트하게 짜인 주방은 전면으로 테이블을 두고 북쪽에 다용도실을 배치해 사용한다. PLAN – 1F / PLAN – 2F◀ 안전하게 설계된 환한 계단실 ▶ 2층 발코니를 앞에 둔 다용도 공간 멋진 전경을 감상하며 식사할 수 있는 공간 실내는 3인 가족이 생활하기 딱 알맞은 크기로 구성되었다. 거실과 주방은 이어져 있되, 식당은 칸막이로 구분했다. 부부 침실은 우측 끝으로 배치해 독립성을 주었고, 현관에서 2층 계단이 바로 이어져 동선이 편리하다. 2층은 딸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 발코니와 이어진 홀은 거실 겸 운동실, 파우더룸으로 두루 쓰인다. 발코니 쪽 전면 창을 통해 하루 종일 볕이 좋고, 소파에 앉아서도 앞산의 설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제대로 된 골조에 단열을 꼼꼼히 한 집이라, 겨울 내내 만족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집짓기에도 기본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아직 마당 정리가 안 되었다며 집 밖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건축주는 다가올 봄으로 한껏 설레는 중이다. ▲ 멋진 전경을 감상하며 식사할 수 있는 공간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0,336
인기
2016.03.23
미국식 지중해풍 스타일 고급주택
붉은 기와의 경사지붕, 그리고 큼직한 격자무늬 창문이 있는 집은 많은 이들이 어릴 적부터 보아 왔던 동화 속 이상향의 집이다. 취재 이세정 사진 변종석 ▲ 앤틱한 느낌의 고급스러운 풍모를 보이는 주택이 외관이탤리언네이트 건축(Italianate architecture), 네오클래식하우스(Neo-classic house) 등은 미국의 고급 싱글하우스 단지나 교외 저택들이 내세우는 디자인 콘셉트다. 붉은 색 점토기와와 밝은 스타코를 기본으로, 가파르게 경사진 지붕과 러프한 마감을 특징으로 꼽는다. 여기에 최상의 건축 자재와 꼼꼼한 디테일 처리로 건축 장인의 솜씨를 드러낸 연출들로 주목 받는다. 판교주택은 이러한 미국식 지중해풍 주택을 모티브로 입지 상황을 고려해 설계되었다. 경사진 대지 덕분에 현관과 주차장은 북측 도로와 면하고, 2층 거실은 남향의 외부 데크로 바로 이어진다. 진입부는 높은 키의 자연석 마감과 아치형 목재 문으로 보는 이를 압도하는데, 솜씨 좋은 석공이 약 50일을 꼬박 매달린 결과라는 후문이다. 앤틱한 외부 벽등은 무척이나 큰 사이즈지만, 진입부 분위기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시선을 사로잡는다. ▲ 최근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거 양식은 빅토리아 시대의 지중해풍 주택이다. 스패니쉬 기와에 외장은 스타코, 포치와 창호 몰딩으로 이루어진 이탈리아 건축 스타일에 심플하고 간결한 직선들을 조합해 웅장한 멋을 낸 주택들이 고급주택으로 여겨지고 있다. ▲ 2층 주방과 다이닝룸. 채광 좋은 창과 파티오 도어로 개방감이 좋다. ▲ 건축주의 취미 생활을 위한 음악감상실. 지하지만 층고가 높아 답답함이 없고 환하다. 1층은 현관을 제외한 대부분의 면적을 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자동차에 특별한 애정을 가진 건축주의 라이프스타일을 적극 반영한 결과다. 현관에서 이어지는 지하부는 건축주의 여가를 위한 음악실과 운동실로 구성되었다. 음악을 감상하는 공간은 이웃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방음에 특별히 신경쓰고, 썬큰 공간을 곁에 두어 채광은 물론 환기와 습기 제어 등에도 용이하도록 했다. 2층은 건축주 부부의 주생활 공간이다. 거실과 주방이 자연스럽게 열린 구조로, 모던과 클래식을 조화롭게 연출한 인테리어를 선보인다. 특히 주방 겸 다이닝룸은 개수대 앞 창호와 테이블 옆 파티오도어로 개방감이 뛰어나다. 마스터침실은 비슷한 면적의 욕실과 드레스룸을 곁에 두어 편의성을 높였다. 3층은 자녀 세대를 위한 공간으로 젊은 감각이 더욱 돋보이는 연출이다. 화이트를 기본으로 한 모던한 바탕에 클래식한 주방 기기, 내부 조명을 설치해 보기 드문 실내를 이루었다. 각 방과 드레스룸, 욕실 공간은 최대한 일체형 수납 공간을 만들어 데드스페이스가 거의 없다. 층마다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스타일을 가감 없이 보여준 인테리어로 총평할 수 있다. ▲ 넓은 현관부에는 각 층으로 향하는 원목 계단이 바로 마주한다. ▲ 2층 거실은 사비석으로 마감된 테라스로 이어지는 전면창을 두었다. ◀ 특별한 사이즈로 주문 제작된 침대는 매트리스 2개를 붙여 숙면을 돕는다. ▶ 침실에 딸린 드레스룸과 욕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대지면적 : 231㎡(70평) 건물규모 : 지상 3층 연면적 : 326.7㎡(99평) 주차대수 : 3대 최고높이 : 10m 공법 : 기초 – 콘크리트, 지상 – 스틸하우스 구조재 : 스틸 아연도 강판 지붕재 : 테릴 기와 단열재 : 인슐레이션(미국) 외벽마감재 : 스터코플렉스 창호재 : 앤더슨 창호(미국) 설계 및 시공 : 네이처스페이스 010-7922-5209 ◀ 세대 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홀 입구에 문을 설치했다. ▶ 계단실은 사람의 동선에 따라 벽면 하부 자동 조명등이 작동한다. ◀ 자녀 세대의 주방 전경. 클래식한 원목 주방에 독특한 조명이 눈길을 끈다. INTERIOR SOURCES 내벽 마감(페인팅) : 천연페인트, 천연벽지 바닥재 : 수입 원목 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수입산 수전 등 욕실기기 : 수입산 주방 가구 : 이태리 쿡탑 및 냉장고 : 젠에어 조명 : 미국산 계단재 : 미국산 현관문 및 방문 : 미국원목 데크재 : 사비석 잔다듬 ▲ 강렬한 원색의 패브릭과 서까래 장식이 감각적인 조화를 이루는 3층 거실 ▲ 친환경 소재로 구성된 자녀방집에 적용된 대부분의 자재는 미국에서 직수입했다. 계단실을 만드는 계단판, 오일스테인, 기둥 각주 등은 모두 미국산 원목을 사용했고, 내부에 들어가는 단열재와 창호 등도 미국에서 각 분야에서 공식 인증받은 제품을 적용했다. 특히 창호는 ‘Anderson’ 브랜드로 아르곤 가스와 Low-E 코팅유리로 제작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들이다. 성능뿐 아니라 디자인과 하드웨어의 디테일 면에서 모든 부분 건축주를 충족시켰다. 내부 마감을 위한 페인트와 석고보드, 벽지까지 모두 친환경 제품으로 시공했고, 몰딩 하나하나까지 원목으로 직접 제작해 유해 요소가 전무하다. 대지 특성에 어울리는 절제된 외관과 친환경 자재의 조합은 지중해풍 주택의 차별화된 스타일로 판교의 많은 주택들 사이에서 동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30,374
인기
2016.03.22
여유와 나눔이 있는 프로방스풍 감성마을
아파트의 편리함과 단독주택의 마당, 이웃과의 정겨움을 고루 갖춘 주거형태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타운하우스. 베른하우스 정혜정 수석디자이너가 기획하고 디자인한 ‘동탄 생폴드방스(St. Paul de Vence)’를 찾았다.취재 조고은 사진 변종석 ▲ 작은 프랑스 마을을 닮은 핸드메이드 타운하우스▲ 디자이너가 직접 만든 핸드메이드 원목가구를 배치한 아이 방 ▲ 주민커뮤니티센터 ‘아꼬떼(a cote)’전경 INFORMATION 대지위치 : 경기도 화성시 금반1길 31번지 일대(동탄1신도시) 지역지구 : 제2종전용주거지역,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 대지면적 : 8,062.6㎡(2,439평) 법정 건폐율 : 50%, 용적률 : 150%, 최고층수 : 3층 규모: 49가구(지상2~3층) 건축공법 : 기초 - 철근콘트리트, 지상 - 2X6 경량목구조 설계 및 시공 : 베른하우스 031-8003-4150 www.bernhaus.co.kr 서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사람과 문화, 감성이 살아 숨 쉬는 마을이 있다. 바로 기획에서 디자인, 시공에 이르기까지 디자이너 정혜정 씨가 섬세하게 다듬고 그려낸 정통 유러피언 타운하우스 ‘동탄 생폴드방스’다. 그녀는 건축회사 베른하우스의 수석디자이너로, 국내에 100여 채에 달하는 프로방스 스타일 주택을 지으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왔다. “한 채씩 지을 때는 늘 주변 환경 때문에 아쉽고 속상했어요. 창문 너머로 펼쳐지는 풍경이 이질적이고 부자연스러운 면이 있었기 때문이죠.” 프로방스풍 집들이 모여 있는 아담한 마을을 꿈꿔왔던 그녀에게 이곳은 그 소망을 실현한 첫 번째 타운하우스다. ‘샤갈의 마을’이라 불리는 프랑스 남부의 ‘생폴드방스’를 모티브로 하여 중세 유럽의 고풍스러운 느낌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한 프로방스풍 목조주택으로 채워졌으며, 현재는 분양한 49가구 모두 입주를 마치고 새로운 일상을 이어가는 중이다. 나는 ‘내가 살고 싶은 집’을 짓는다 개인주택은 명확한 건축주 한 사람 혹은 한 가족의 요구조건만 충족시키면 되지만, 타운하우스는 그렇지 않다. 불특정 다수를 만족시키면서도 개인의 취향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이어야 한다. 그렇다고 건축주들의 요구 사항을 모조리 받아들였다가는 전체적인 통일성을 잃은 채 중구난방인 마을이 되고 말 것이다. 동탄 생폴드방스는 그동안 정혜정 씨가 디자인한 베른하우스의 주택들과 이어지는 하나의 맥락 위에 존재한다. 마을 전체의 그림을 우선하여 개인의 기호나 성향은 최대한 배제한 덕분이다. 모든 디자인에는 일관성이 중요한데, 그녀는 주택디자인에도 전체를 관통할 수 있는 부드러운 카리스마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내가 아름답다고 느끼고 살고 싶은 집이라 생각하면, 다른 사람도 똑같이 느낀다’는 것이 그녀의 지론이다. 대신 전체적인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시된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특별한 경우 베른하우스 디자인팀과의 논의를 통해 개별 건축주의 생활과 취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100채가 넘는 집을 지어오면서 한 번도 디자인의 정체성이 흔들리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수석디자이너를 비롯한 디자인팀 전원이 늘 소통하며 같이 안목을 키워나가려 한 노력 덕분이다. 아무리 바빠도 일주일에 한 번은 반드시 디자인포럼을 열어 ‘가장 베른하우스다운 것’과 ‘시대에 발맞춰 조금 더 진화하는 베른하우스 디자인’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한다. “저 혼자만 이런 느낌을 상상하는 데서 끝냈다면 결코 이런 마을을 만들 수 없었겠죠. 일이 한꺼번에 많아지거나 제가 자리를 비워도 작업을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는 건 함께 일하는 사람들끼리 하나의 생각을 공유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그녀가 짓는 집에는 항상 스토리가 있다. 정통 프로방스 스타일의 집이라도 옛 프로방스 지방 삶의 모습, 거주환경에서부터 그곳에 살았던 화가나 작가 등의 이야기를 가져와 집에 녹여낸다. 이로써 각각의 집이 갑자기 다른 방향으로 튀어 나가지 않고 조화를 이루며, 현대적인 요소를 접목하더라도 자연스럽게 융화된다. 동탄 생폴드방스 역시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각각의 사연이 모여 하나의 이야기를 형성하는 마을로 탄생했다. ◀ 아늑하고 자연적인 느낌의 침실 ▶ 타운하우스 디자인을 총괄한 정혜정 씨 동탄 생폴드방스의 집에는 A, B, C TYPE이 있다. A TYPE은 필로티 없이 현관에서 바로 내부로 이어지는 구조다. B TYPE 역시 현관과 포치, 마당 등의 위치만 조금 다를 뿐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다락방은 옵션. 도심 속, 이웃과 이웃이 더불어 사는 마을 집은 보기에도 아름다워야 하지만 살수록 좋은 집이어야 한다.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단열재, 외장재, 내부 마감재 등 최고 품질의 자재로 가장 좋은 성능의 집을 짓는 것을 전제로 한 후, 디자인을 입히는 것이 정혜정 디자이너의 원칙이다. 동탄 생폴드방스에서 만난 한 건축주는 바로 이러한 점이 믿음직스러워 입주를 결정했다고 전한다. “캐나다에서 1년 정도 살아본 경험이 있어 단독주택 구조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어요. 프로방스풍보다는 모던한 디자인을 선호해 다른 곳을 먼저 알아봤지만, 좋은 자재로 정직하게 짓는 모습에 신뢰감이 생겨 결국 이곳을 선택했죠.” 주택은 벽체 외부의 2차 단열 시공으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했으며, 내부 역시 친환경 무독성 페인트로 마감하고 원목 핸드메이드 가구를 기본으로 해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이 가능하다. 차량통제시스템, 무인 택배시스템, 안전보안 시스템 등 단독주택에서는 누리기 어려운 제반시설이나 방범 장치 등도 갖췄다. 이곳에 와서 무엇보다 달라진 점은 이웃이 함께 모여 사는 즐거움이 더해졌다는 것이다. 전원에서의 삶을 택한다 해도 이웃과의 교류가 거의 없거나 외진 지역이라 적적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되는데, 타운하우스는 이와 같은 전원주택의 단점을 보완해준다. 언뜻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일 수도 있지만, 이웃집에 놀러 가 집집이 다른 구조와 인테리어를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그동안 온라인카페 게시판에서 친목을 다졌던 입주민들은 입주 후에 더 자주 만나며 각종 살림 정보를 교환하거나 여가를 함께 보내고 있다. 타운하우스 초기 계획단계에서 정혜정 디자이너의 제안으로 설립된 주민커뮤니티센터는 ‘~와 이웃인, ~의 가까이에’라는 뜻의 ‘아꼬떼(a cote)’라 붙인 이름답게 이웃간 교류의 장으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1층은 브런치 카페, 2층은 문화센터와 핸드메이드 소품 전시관, 3층은 아동도서관으로 이루어진다. 브런치 카페는 외부인도 출입이 가능하지만, 입주민에게는 모든 메뉴를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한다. 2층 문화센터 공간에서는 그림, 베이킹, 퀼트 등 다양한 문화교양강좌를 진행하고 입주민 모임 등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 아꼬떼 1층 카페에서는 맛있는 브런치와 함께 이웃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진다. ◀ 프로방스풍 디테일이 살아 있는 욕실 ■ 원목가구와 목창이 자연스러운 코지 공간 ▶ 주방에서 바라본 거실 ▲ 통일성 있게 디자인된 집들이 모여 이국적인 마을 풍경을 만들어낸다. ◀ C TYPE 2층 내부 모습 ▶ 편안하고 따뜻한 다락방 ▲ 필로티가 있어 개인 주차 공간이 확보되는 C TYPE. 1층 현관에서 계단을 통해 2층 내부로 연결되는 구조다. 다락방은 옵션. 단독주택에서의 생활은 마당 관리나 유지·보수 등 번거로운 일이 많다.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크기의 아담한 공간과 마당으로 이루어진 동탄 생폴드방스는 그런 부담이 없이 집을 가꾸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자연과 가까운 환경이지만, 도심에서 멀지 않아 각종 편의시설이나 교통 인프라, 의료시설, 학교 등의 여건도 부족함이 없다. 그래서인지 입주민들의 연령층은 대체로 젊은 편이다. A/S 전담팀이 별도로 있고 하우스 키퍼가 상주하기 때문에 생활하다가 불편한 점이 있으면 바로바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매력적이다. 집에서 몇 발자국만 걸어가면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울 수 있고, 이웃과 이야기를 나누며 맛있는 점심과 커피를 값싸게 먹을 수 있는 마을. 이곳 구석구석에는 정혜정 디자이너의 감성이 맞닿아 있다. 붉은빛 점토기와를 얹은 소박한 집들이 동화 같은 풍경을 자아내는 마을에서 사람들은 서로 소통하며 한층 따뜻하고 여유로운 삶을 이어간다. ▲ 거실 창가에서 휴식을 즐기는 건축주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7,805
인기
2016.03.15
자연과 대면한 주택 KRAMPON
가파른 경사의 대지는 이곳에 집을 짓기 위해 꼭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자연에 대한 건축가의 고민과 이해가 엿보이는 집을 찾았다. 취재 김연정 | 사진 Yutaka Kinumaki ▲ 가파르게 경사진 대지 위에 지어진 주택 모습 ▲ 주변 경치가 내려다보이는 2층 주방 전경 ▲ 주택은 암석으로 이뤄진 대지의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이곳은 여전히 웅장한 자연의 모습을 간직한 주거지역이다. 주택은 자연림으로 둘러싸인 경사진 땅에 위치한다. 아름답게 뻗은 가지의 모양이 인상적인 두 그루의 큰 나무(하나는 녹나무이고 다른 하나는 벚나무)가 대지의 꼭대기에 서 있고, 이 나무들은 주택의 외관과 어우러진다. 전체적으로 대지는 앞뒤 고저차가 약 11m에 이를 만큼 가파르게 경사져 있다. 지반은 암석으로 이뤄져 매우 단단한 상태였다. 이러한 대지조건을 고려하여 굴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사진 지면을 따라 건물을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HOUSE PLAN 대지위치 Hyogo, Japan 건물용도 House 대지면적 360.35㎡(109평) 건물면적 104.53㎡(31.62평) 연면적 136.65㎡(41.34평) / 1F - 84.05㎡(25.43평), 2F – 52.60㎡(15.91평) 구조 Timber Flame 구조설계 S3 Associates Inc. 시공 Amerikaya Co.,Ltd. 외부마감 Lap Siding, Oil Paint 내부마감 바닥 - Ash Flooring T18, White Oil Paint 벽 - Plasterboard T12.5, Emulsion Paint with Sand 천장 - Basswood Plywood T4 설계 Shogo Aratani Architect & Associates www.ararchitect.com SECTION ▲ 넓은 창을 통해 늘 따스한 빛이 내부로 들어온다. ▲ 거실 위 천창을 통해 나무들이 올려다 보인다. PLAN – 1F PLAN – 2F ▲ 1층 상부에는 넓은 테라스를 두어 외부 활동을 돕는다. ▲ 계단과 연결된 공간은 소규모 서재 역할을 겸한다. ◀ 벽면을 활용해 책을 둘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 작은 창이 액자 속 풍경처럼 외부를 실내로 들인다. ▲ 대지의 경사와 같은 계단이 2층과 연결된다. 최적의 전망을 제공하기 위해 주공간은 위층에 놓고, 다른 실내공간은 경사를 따라 도로 레벨까지 연결된다. 등고선을 따라 세 개의 볼륨을 배치하여 풍경과 관련된 공간적인 순서를 디자인하였다. 상단 볼륨은 두 개의 큰 나무 바로 아래 위치하게 된다. 거실 상부에 설치된 채광창을 통해 나무들이 올려다 보인다. 북측 볼륨에는 욕실이 자리하고, 하단 볼륨에는 1층 개인 공간과 거실에서 이어지는 나무 데크 테라스가 포함된다. 직선형의 세 볼륨이 만나는 교차점에는 대지의 경사와 같은 계단이 놓인다. 이 공간은 이 집의 계단실일 뿐만 아니라, 많은 책을 수용할 수 있는 소규모 서재 역할도 하게 된다. 풍경을 따라 각각 다른 세 개의 볼륨을 설계함으로써, 거주자는 옥외공간과 다양한 방식으로 직면하는 독특한 공간의 연속성(Spatial Sequence)을 즐길 수 있다. 건축가 SHOGO ARATANI 일본 오사카(Osaka) 출신으로, Tokushima University에서 학업을 마쳤다. Moo Architect에서 실무를 익힌 그는 2000년, Shogo Aratani Architect & Associates를 개소하였다. 현재 Kyoto Seika University에서 강의 중이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2,148
인기
2016.03.09
소형주택의 한계를 넘은 양평 작은 집
도시인들은 전원주택을 꿈꾸며 삶의 여유를 찾고자 하는 미래를 그린다. 그러나 이 꿈들은 불편한 교통, 아이들의 학업, 땅 구입과 주택 건축에 대한 금전적인 문제로 쉽게 좌절되고 만다. 양평에 위치한 본 전원주택은 어린아이들을 자연 속에서 키우고자 하는 젊은 부부와 은퇴한 도시인들을 위해 지어졌다.구성 이세정 | 사진 권용상 ▲ 작은 집 3채로 아담하게 조성된 주택 단지 야경 부지는 양평역에서 10분 거리의 한적한 농가들이 모여 있는 마을에 위치한다. 서측의 대지는 사이트보다 낮아서 정감 있는 산세가 막힘없이 펼쳐져 있고, 그 앞의 논과 밭들은 농촌의 풍경을 더한다. 북측으로는 나지막한 마을 동산이 동네를 포근하게 감싸고 있다. 건축주는 약 450평 대지에 25평의 작고 소박한 세 채의 주택 단지를 원했다. 작은 규모로 짓는 대신 마당에는 한껏 자연을 들여놓고 텃밭을 마련하여 농촌의 즐거움을 체험할 수 있는 주택이어야 했다. 남북으로 긴 대지에 세 동 모두 최대한 남향 배치를 하되 일자가 아닌 조금씩 엇갈린 배치가 되어 각 집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채광은 최대한 확보되도록 하였다. 동시에 담을 최소화하여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소통이 되는 작은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싶었다. 주요 거주공간은 남측으로 배치되어 태양 에너지를 적극 이용하고 출입구, 주차장 및 공용 유틸리티 공간은 북측으로 배치하였다. ◀ 한지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변화로 매시간 다른 느낌을 주는 안방 ▶ 주택의 주출입구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용도 : 단독주택(3개동) 대지면적 : 1,458㎡(3개동) → (441㎡ / 486㎡ / 531㎡) 지역지구 : 보존관리지역 건축면적 : 각 동 86.73㎡(26.24평) 규모 : 지상 1층, 다락 2실 건폐율 : 19.67 % / 17.84% / 16.33% 용적율 : 19.25 % / 17.46% / 15.98% 주차대수 : 세대 당 1대 공법 : 기초- 철근콘크리트 줄기초 지상-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 / 철근콘크리트 경사슬라브 및 평슬라브 구조재 : 철근콘크리트 지붕재 : 컬러강판 단열재 : 외벽150㎜ 네오폴, 지붕옥상 160㎜ 네오폴, 내부바닥 100㎜ 단열재 외벽마감재 : 플렉시텍스, 적삼목, 점토벽돌 창호재 : LG하우시스 PL창호 내벽마감재 : 석고보드 위 실크벽지, 친환경페인트, 타일 바닥재 : 강마루 및 타일 설계 : 이경선(홍익대학교 건축학과) + 권재희(스페이스 목금토 건축사사무소) 031-781-6545 www.spacemgt.co.kr 시공 : 대련종합건설(주) 02-906-3010 구조 : SDM 구조 전기, 기계 세원 엔지니어링 ▲ 채광, 태양열을 고려한 지붕 경사는 실내에 여분의 다락 공간을 선사한다. ▲ 담이 없는 대신 조금씩 엇갈린 배치로 집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 SCHEDULE PROCESS ▲ 다락 공간의 내외부전원주택의 에너지 해결을 위해 외단열을 채택하였고 법적기준치 이상인 150㎜의 벽체단열시공을 통하여 단열성능을 높였다(외단열 시스템인 경우 면적에서 혜택이 있는 점도 고려되었다). 또한 조망을 위해 설치된 큰 창호들은 3중 유리 시스템 창호를 택해 창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였다. 단열에 치중된 건물 대부분은 여름철 더위나 환기에 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각 실 어디에서나 맞통풍이 가능하도록 창문을 배치했다. 지붕의 경사도는 용도에 따라 디자인된 것인데 거실측 지붕은 남쪽으로 열려 겨울철에 태양에너지를 최대한 유입시키도록 하였고 안방측은 태양광을 설치하기 위한 경사로 디자인되었다. 건축 재료로 지붕은 징크 느낌의 컬러강판을 사용하고 외벽은 따스한 색감의 스터코 마감과 적삼목, 벽돌을 선택하여 주변 자연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하였다. 건물 주변 바닥면에는 빗물이 대지에 쉽게 흡수되도록 잔디블록과 굵은 마사를 깔았다. ▲앞마당을 향한 툇마루와 옥상 데크를 통한 내부 공간의 확장 ▲ 동선이 꺾이는 곳마다 창을 설치해 시야는 안에서 밖으로 확장된다. INTERIOR SOURCES 벽지 : 서울벽지, 개나리벽지 페인트: 삼화페인트 아이사랑 몰딩: 우딘숲 도어몰딩 주방 벽면 마감재: 벽산 방수석고 위 한보타일 욕실 타일: 한보타일, 대동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한양, 계림요업 조명: LED조명 남광, 대우조명 바닥재: 강마루 동화마루 주방기기: 파세코 현관문: 철재 갑종방화문 방문: 우림숲 도어 데크재: 목재 계단재: 평철판 위 집성목 ◀ 채광과 환기를 고려한 창의 배치 ▶ 창의 비율이 아름다운 배면 ▲ 이동이 가능한 계단용 수납가구 소형주택은 거실이나 방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하는 게 먼저다. 이에 대한 고려로 동선이 꺾이는 곳마다 창을 설치하여 시야를 벽에서 머무르지 않고 탁 트인 자연으로 확장될 수 있게 했다. 또한 실내의 각 공간은 다양한 높이의 천장, 경사도가 다른 지붕, 크기와 높이가 다른 창, 분위기가 다른 조명으로 개성을 살려 디자인하였다. 또, 작은 집은 수납공간이 적다는 단점이 있는데, 보이지 않는 공간들을 활용해서 수납이 용이하도록 만들었다. 계단하부 공간을 활용하고 다락방으로 통하는 계단은 계단용 수납가구로 대체하여 개성과 실리를 동시에 취했다. 아일랜드 식탁도 분리가 가능해서 가족의 수, 혹은 상황에 따라 달리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형 주택에서 놓치기 쉬운 부분인 협소한 다용도실도 넉넉하게 배치하여 수납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집이 정리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넉넉한 면적의 다락방도 큰 몫을 한다. 안방은 전통적 요소를 가미한 공간으로 매력을 더했다. 차양이 있는 목재 데크는 툇마루의 역할을 하고, 한지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변화는 매시간 다른 느낌으로 공간을 그려낸다. 경사진 천장에 달린 둥그런 보름달 조명 역시 운치 있다. 거실과 안방, 다락에서 확장된 데크는 가족끼리는 물론, 멀리서 찾아온 이웃과 함께 자연을 즐기는 풍성한 야외공간을 제공한다. 작은 면적이라도 결코 작지 않은 집, 다양한 우주를 품은 집을 설계하고자 했다. 소형주택이지만 세심한 디자인을 통해 다채롭고 풍요로운 공간을 선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우리는 이제 안방에 앉아 마당을 바라보며 자연이 주는 따스함과 평온함을 즐기고 있을 집주인을 상상해 본다. <글 _ 권재희> 건축가 이경선 현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 미국 건축사, 친환경 디자인 전문가(LEED AP).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미국 UCLA 건축학 석사 졸업, 하버드대학교 건축학 박사,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모니카 소재의 Moore Ruble Yudell Architects & Planners, HLW international, 뉴욕의 Gwathmey & Siegel Associates Architects에서 실무경험을 쌓았다. 주요 작품으로 New York 400 5th Avenue 호텔 및 주상복합 건물, Dartmouth College 기숙사, Amgen 연구소, 공주 마을 회관, 성북구 안암동 인권청사 등이 있다. 건축가 권재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졸업. 엄이건축 근무. 현재 (주)스페이스 목금토 건축사사무소 대표이며 홍익대학교 및 부천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저에너지·패시브주택에 관한 연구와 이를 건물에 실현 중이며 건축이 구현되는 공동체의 환경, 문화, 경제조건을 고려한 적정기술과 갈등해결에 관한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다. 주요 작품으로 청담동 웨딩 인테리어, 유남전기 동탄사옥
전원속의내집
조회 43,942
인기
2016.03.09
네모난 정자를 품은 집
경기도 용인 예술인 전원마을 초입에 들어선 첫 번째 집. 네모 박스 안에 저수지와 주변 풍경이 한눈에 들어오는 정자(亭子)를 품은 아담한 주택이다. 취재 조고은 | 사진 변종석, 건축가 제공▲ 심플한 외관에 크고 작은 창의 배치가 리듬을 더한다. 이미 필지 분할을 하고 토목공사까지 완료한 대지는 남쪽에서 서쪽까지 펼쳐진 나지막한 야산과 이동 저수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집은 단지 초입에 자리해 마을로 진입하면서 혹은 주변 도로에서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있다. 건축주는 30평 남짓한 규모로 공사비가 저렴한 주택을 짓기를 원했고 주변 풍경과 공사비의 최소화, 토지 분양 등의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초기 계획에 들어갔다. 그 결과, 최소의 건축면적으로 주변 풍경을 최대한 담아내는 조형적 형태의 ‘네모정자집’을 생각하게 됐다. ◀ 2층 테라스의 전경 ▶ 세모난 천창이 있는 다락방네모정자집은 가로세로 7.8m 모듈의 이층집으로 구성되며 각 층이 다시 4개의 모듈로 나누어진다. 각 모듈은 거실, 식당, 계단 + 화장실, 방의 기능을 담으면서 향, 조망, 진입방향, 생활환경 등에 맞추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평면 시스템을 가졌다. 모듈 주택 건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현재 경기도 가평군과 경남 거제시에도 네모정자집 건축이 진행 중인데, 용인 네모정자집은 그 첫 번째 집이다. 북쪽 도로와 남서쪽 조망을 가진 이 집은 1층 남쪽에 식당을 두고 그와 인접하여 안방을 구성했으며, 2층에 남서쪽으로 거실과 테라스 정자를 두고 있다. ▲ 2층에 네모난 정자를 품고 있는 주택의 모습HOUSE PLAN 대지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대지면적: 480㎡(145.2평) 건물규모: 지상 2층 건축면적: 63.86㎡(19.32평) 연면적: 109.15㎡(33.02평), 면적 제외 부분 - 2층 테라스 14.52㎡(4.4평) + 다락 16.38㎡(5평) 건폐율: 13.3% 용적률: 22.74% 주차대수: 2대 최고높이: 8.7m 공법: 기초 - 철근콘크리트조 지상 - 경량목구조 구조재: 경량목구조 지붕재: 리얼징크 단열재: T140 그라스울 + T85 압출법보온판 외벽마감재: 스터코 외단열 마감, 적삼목 창호재: T22 로이복층유리 / PVC 시스템창호 설계: ㈜리슈건축사사무소 02-790-6404 www.richue.com 시공: ㈜위빌 031-919-5689 www.webuildcity.com 총 공사비: 1억7천5백만원 ▲ 다락방이 보이는 2층은 천장이 높아 더 넓어보인다. ▲ 드레스룸이 숨어 있는 1층 안방 INTERIOR SOURCES내벽 마감: 고급벽지바닥재: 강화마루욕실 및 주방 타일: 자기질타일수전 등 욕실기기: 대림요업계단재: 자작나무합판방문: 자작나무합판 제작붙박이장: 현장맞춤제작데크재: 방부목◀ 리드미컬한 선의 교차가 돋보이는 난간 ▶ 1층 주방은 마당 데크와 연결된다.◀ 그린 컬러의 산뜻한 1층 방 ▶ 노란색 타일이 상큼한 2층 욕실 용인 네모정자집은 작은 주택이지만 공용공간인 식당(응접실)과 거실(가족실)을 층을 나누어 구분했다. 이를 통해 외부 손님이 왔을 때에도 개인생활의 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하여 프라이버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했다. 1층의 식당 겸 응접실은 밖으로 연장된 데크를 통해 마당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덕분에, 날씨가 좋은 날에는 마치 야외 식당에 나온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2층 거실과 테라스 정자는 이 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공간으로, 전통 정자(亭子)에서 착안했다. 이로써 대지에 주어진 특별한 풍경은 주택에 사는 거주자의 삶 속에 일상이 되어 들어온다. 이 밖에도 세모 모양의 천창을 통해 하늘을 바라보는 다락방, 책이 가득한 복도, 다락이 보이는 거실 등 다양한 일상을 담아낼 네모정자집이 주변 풍경과 어울려, 거주자뿐 아니라 이웃들에게도 일상 속 기분 좋은 풍경으로 기억될 수 있기를 바란다. <글 _ 홍만식> 건축가 홍만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원도시건축, 구간건축, 에이텍건축에서 실무를 쌓았다. 2006년 개발기획 파트너를 만나 개발PM 서비스 ‘리슈건축’을 설립했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겸임교수를 역임 중이며, 2013년 대한민국 신인건축사 대상 최우수상(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주요작품 _ 망원동 모퉁이집(상가주택), 가평 아침고요마을(전원주택단지), 가평 골프동호인주택, 청라커낼큐브(근린생활시설), 순천제일대학교 기숙사 외 다수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36,870
인기
2016.02.29
가구 만드는 화가 김창옥 씨, 가족과 함께 집을 짓다
경기도 포천의 한 마을에 독일에서나 볼 법한 이국적인 집 한 채가 들어섰다. 분홍색 벽면과 나무 프레임이 예쁜 이 동화 같은 집은, 창옥 씨네 다섯 식구가 2년 6개월에 걸쳐 지은 패시브-팀버프레임 하우스다. 취재 조고은 | 사진 변종석 ▲ 다락의 부부 공간. 모든 가구는 창옥 씨 스튜디오에서 탄생했다. ▲ 이국적인 풍경을 자아내는 분홍집 목공스튜디오 ‘Kim&Kim Studio’를 운영하는 김창옥 씨는 서양화를 전공한 화가다. 영국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고 약 10년 동안 교수 생활을 했던 그에게 목공은 가족과 떨어져 있던 외로운 마음을 달래준 취미생활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느덧 직업이 되어 ‘가구를 만드는 화가’가 되었고 2011년 여름, 땅을 보러 간다는 친구를 따라나섰다가 운명처럼 만난 이곳 경기도 포천에 집을 짓게 된다. “추운 지역이지만 햇볕이 잘 들고, 바람도 세지 않은 지형을 가진 곳이었어요. 보자마자 집 짓고 살기 딱 좋은 땅이라고 생각했죠.” 뜻이 맞는 지인들이 모여 1,500평 정도의 땅을 함께 샀고, 이중 그가 제일 먼저 집짓기에 나섰다. 집은 다른 사람의 힘을 빌리기보단 가족과 함께 직접 짓기로 했다. 그렇게 그와 목공스튜디오에서 같이 일하는 딸 눈이, 처조카 기웅이가 주축이 되고 아내 조경옥 씨, 아들 수로와 천둥이가 힘을 보태어 장장 2년 6개월의 좌충우돌 집짓기 여정이 시작되었다. ▲ 팀버프레임이 그대로 드러나 웅장하면서도 따뜻한 느낌의 주택 내부 창옥 씨는 약 20년 전, 독일계 프랑스 사람이 강연했던 한 국내 워크숍에서 팀버프레임에 관해 처음 접했다. 아무래도 예술, 창작과 관련한 직업이다 보니 목공이나 건축 관련 분야에 관심이 많았다. 국내에 통나무집 건축이 인기를 끌 때에는 통나무 건축 워크숍에 다녀왔고, 경복궁 복원 과정, 일반 목조주택 건축 과정에 참여했던 경험도 있다. “건축을 업으로 삼을 정도로 전문 교육을 받았던 건 아니에요. 언젠가 내 집을 짓기 위해 틈틈이 배워두었던 거지요.” 다양한 집짓기 공법을 경험해보니 저마다의 장단점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모든 공법을 하나의 집에 쓸어 담을 수는 없었다. 가장 중심이 되는 공법을 선택해야 했는데, 그에게 가장 매력적으로 다가온 것이 바로 ‘팀버프레임’이다. 일부러 갖가지 장식을 하지 않아도 나무프레임 자체가 자연스러운 인테리어가 되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영국에서도 관련 교육 과정을 수강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 배웠던 것들을 확인해보고 싶은 마음도 컸다. 그런데 문제는 ‘단열’이었다. 짜맞춤 공법이 중심이 되는 팀버프레임이나 한옥은 기둥과 기둥을 끼워 벽체를 만들기 때문에 그 틈으로 찬 기운이 스며들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할 방법이 무엇일까 고심하던 그는 팀버프레임 구조에 패시브 하우스의 단열 공법을 더한 집을 지어보기로 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한 번도 행해진 적 없는 실험적인 집짓기였다. 가구를 만드는 일이나 집짓기나 모두 나무를 재료로 하는 일이지만, 생전 처음 하는 건축 과정이 쉬울 리는 없었다. 그런데 창옥 씨는 눈이와 기웅이를 데리고 아직 터도 잡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치목을 하기 시작했다. 나무로 짓는 집은 잘 건조된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우연치 않게 강원도 춘천의 한 건축 현장에 4년 동안 잘 건조된 목재 남은 것이 있어 얻어온 것이다. 치목, 골조 세우기, 기밀 및 단열 시공, 지붕 얹기 등의 집짓기의 주요 작업은 나무를 만지는 데 익숙한 목공 스튜디오 식구들이 맡고, 전기설비, 창호 설치 등은 전문기술자의 손에 맡겼다. 천장에 기밀 시공을 하거나 기와를 올릴 때는 암벽등반용 장비에 매달려 하루에 4~5시간씩 작업했다. “눈이는 그때의 후유증으로 얼마 전까지 허리 교정 치료를 받았어요. 한여름 땡볕에서 작업할 때는 저도 생전 처음 빈혈로 고생하기도 했죠.” 아내 경옥 씨는 작업으로 한창 지치는 시간이면 맛있는 새참을 내오거나 각종 행정 관리 업무를 도맡았다. 비싼 독일 패시브 하우스 자재를 사용하기도 했고 생각보다 공기가 많이 길어지는 바람에 지출 비용이 예산을 훨씬 초과했지만, 집이 끝까지 지어질 수 있었던 것은 묵묵히 응원하고 지원해준 아내 덕분이다. 아직 중학생인 두 아들도 자재를 옮기는 일이나 청소 등의 잡다한 일을 맡으며 집짓기에 참여했다. 그렇게 길고 길었던 초보 목수 가족의 고된 집짓기는 ‘동화 속 분홍집’으로 완성됐다. ▲ 다섯식구의 집짓기 여정 ▲ 아늑하고 편안한 딸 눈이의 공간 “실용적 성향이 강한 미국 사람들은 팀버프레임으로 집을 지을 때 골조를 세우고, 바깥을 냉장고처럼 스킨(Skin)으로 씌워 밀봉하는 방법으로 기밀성과 단열성을 강화합니다.” 미국의 팀버하우스는 기둥과 벽체 사이에 틈이 없어 유럽의 전통적 팀버하우스보다 훨씬 따뜻하고, 안으로 프레임이 더욱 튀어나와 내부에 볼륨감이 생긴다. 분홍집은 이런 방식을 적용해 지은 집으로, 바닥 난방 없이 벽난로만 하루에 두어 번 불을 피워도 종일 훈훈하다. 아무리 추운 겨울에도 한 달에 드는 난방비가 5만원이 채 되지 않는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하지만 단열을 강화한 대신, 골조가 안팎으로 드러나 웅장한 팀버하우스 특유의 외관은 잃을 수밖에 없었다. 예술과 창작을 하는 사람으로서 디자인도 포기할 수 없었던 그는 외벽에 나무 프레임 장식을 덧붙여 전통적인 팀버하우스의 모습을 재현했다. 집에는 명확하게 구분된 방이 없다. 두 개의 다락에 첫째 딸 눈이와 부부의 공간이 있는데, 그마저도 문이 없고 트여있는 공간이다. 거실 한편에 자리 잡은 서재는 원래 두 아들의 방이 있어야 할 자리이지만, 집짓기 과정에서 공간이 답답해 보인다는 이유로 없앴다. 그 바람에 두 아들은 정해진 잠자리 없이 집의 이곳저곳을 유랑하고 있다. “불편하지 않으냐고들 묻는데, 그렇지는 않아요. 조만간 아들 둘에게는 직접 별채를 지어 자기 공간을 만들게 하려고요(웃음).” ▲ 높은 천장이 시원스러운 거실 ▲ 모든 가구를 직접 짜 넣은 주방은 썬룸의 채광으로 늘 환하다. 주방 근처에 자리 잡은 썬룸(Sunroom)과 집의 중심이 되는 벽난로는 식구들을 한데 모아주는 공간이다. 썬룸의 테이블에서는 차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고, 밤에는 벽난로 주변에 둘러앉아 타닥타닥 타들어 가는 장작 소리와 함께 하루를 마감한다. 집 안에서도 햇볕을 한껏 받으며 여유를 즐길 수 있는 동남향의 썬룸은 주변 풍경과 하늘을 집 안으로 끌어들인다. 벽난로는 거실과 주방을 자연스럽게 구분하면서 집의 구심점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공간들은 기밀성과 단열성이 떨어져 패시브 하우스 공법에 반하는 것들이긴 하지만, 디자인과 함께 창옥 씨가 포기할 수 없는 요소 중 하나였다. 분홍집에서 창옥 씨 가족들은 자연을 즐기고 이웃과 소통하며 이제 한창 전원에서의 삶을 꾸려가고 있다. 경옥 씨는 이웃 할머니의 유정란을 대신 팔아주기도 하고, 딸 눈이와 함께 김치를 담가 독에 묻어두었다가 알맞게 익으면 이웃에 나눠주기도 한다. 피자, 햄버거만 찾던 아이들은 이제 김치, 된장찌개는 물론 나물 반찬 하나만 있어도 밥 한 그릇이 뚝딱이다. 골조부터 마감까지 식구들이 직접 도맡아 지은 집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일상. 이는 곧 이들이 살아온 삶의 연장선이자 집짓기 과정을 통해 받은 선물이다. Kim&Kim Studio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죽엽산로298번길 106-43 010-7777-5891, http://blog.naver.com/eyegold0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7,895
인기
2016.02.29
빛이 깊이 드는 집, Easy House
단정한 선과 면이 만나는 외관, 온종일 기분 좋은 햇살이 들어오는 내부. 꾸미지 않은 듯 멋을 낸 2층 주택에는 편안한 가족의 취향이 머문다. 취재 김연정| 사진 TRU 건축사사무소 제공 ▲ 심플한 화이트 벽의 본채와 적삼목으로 마감한 별채의 대조가 돋보이는 외관 ▲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한 목재 스크린 도어는 집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준다. 이지하우스는 부부와 아들로 이루어진 가족을 위한 집이다. 그들은 높은 천장의 거실과 심플한 느낌의 침실을 원했다. 아파트와 차별화되는 주택의 장점 중 하나는 쓰임새에 맞게 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실은 높고 시원하게, 침실은 아늑하게, 다양한 공간감을 가진 집을 설계하자는데 건축주와 의견이 일치되었다. 땅은 북쪽으로 청계산, 남쪽으로 마을 공원을 바라보는 판교 신도시의 주택지에 있다. 산의 능선이 주변으로 이어지며, 자연의 경치를 바라 볼 수 있는 위치이자 도시의 편리함과 전원주택의 자연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동네이다. 비록 지금은 곳곳에 공터가 남아 있지만, 4~5년 후에는 밀도 높은 주택가가 될 것이다. 특히 계획 대지는 남쪽으로 유치원이, 북쪽과 서쪽으로 인근 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라 미리 채광과 주변의 산을 향한 경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를 위해 마당과 방에서 주변의 풍경을 바라보고, 햇빛과 바람도 잘 들어올 수 있는 ‘ㄱ’자 형태의 집을 계획했다. 남측에는 단층 높이의 별채를 두어 마당으로 볕이 잘 들도록 했다. 또한 심플한 흰색의 본채와 따뜻한 느낌의 목재 별채의 대조가 외관의 특징이다. 본채는 외단열 위 페인트로, 별채는 30㎜ 폭의 적삼목으로 마감했다. ▲ 햇빛도 바람도 잘 들어올 수 있는 ‘ㄱ’자 형태로 집을 배치했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용도 : 단독주택 대지면적: 231㎡(69.88평) 건축면적: 116㎡(35.09평) 연면적: 217㎡(65.64평) 조경면적: 16㎡(4.84평) 건폐율: 50% 용적률: 88%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백색 페인트, 적삼목 내부마감: 백색 페인트, 타일, 원목마루 구조설계: 터구조 기계설계: 기한 엔지니어링 전기설계: 준영 ENC 시공: 나래건설 설계담당: 최제일, 윤경옥, 박준호, 김완기, 배성훈, 조미경 설계: 조성익(TRU 건축사사무소) 02-735-2227 www.trugroup.co.kr▲ 단층 높이의 별채는 내·외부 모두 목재로 마감해 포근함이 느껴진다. 긴 창을 통해 자연의 경치가 한눈에 들어오는 2층 공간 SOUTH ELEVATION / EAST ELEVATION▲ 난간을 벽처럼 높여 하늘로 열린 방과 같은 공간이 완성되었다. ‘엇갈린 층(Split-level)’의 설계 방법을 통해 5개의 방과 2개의 옥상 테라스가 7개의 다른 층에 놓이도록 한 점은 내부 공간에서 특히 눈여겨 볼 부분이다. 이를 통해 높은 천장고를 가진 거실과 낮고 아늑한 서재 등 다양한 공간감을 가진 방들이 완성되었다. 또, 주변의 풍경을 모두 다른 높이에서 바라볼 수 있다. 옥상도 두 개 층으로 나누어 외부 계단으로 연결했다. 모임 공간으로 쓰이는 아래층 옥상은 난간을 벽처럼 높여 하늘로 열린 방과 같은 공간을 만들었다. 위층 옥상은 난간을 낮추어 주변의 산과 마을로 향한 경관을 볼 수 있도록 계획했다. 별채는 평소 가족들의 놀이 공간으로 쓰이며, 손님이 오면 게스트 룸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별채의 내·외벽은 모두 목재로 마감하여 백색 위주의 본채와는 다른, 포근한 느낌을 준다. ▲ 높은 층고의 다이닝룸집 앞에는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한 목재 스크린 도어를 두었다. 스크린 도어는 집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열고 닫을 때마다 마당의 풍경을 바꾼다. 마당은 놀이와 모임 등의 쓰임을 위해 특별히 조경을 하지 않고, 대신 작은 자갈을 깔아 발에 닿는 촉감을 강조했다. ‘쉽고 용이한’이란 뜻과 함께 ‘편안한, 너그러운’의 의미를 가진 ‘이지하우스 Easy House’로 집 이름을 정했다. 이곳은 마을과 어울리는 단정한 외형 속에 다양한 높이와 크기의 방들을 넣은 집이다. 도시형 주택지에서 전원의 풍경을 바라볼 수 있는 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한 만큼, 각 방의 창문에 다양한 주변의 경관을 담을 수 있길 바란다. <글 _ 조성익> 건축가 조성익 서울대학교 및 예일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미국 SOM 설계 사무소에서 초고층 건축 및 도시 개발 프로젝트의 디자이너로 일했다. TRU 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한 이후, 주택부터 단지 계획에 이르는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를 계획·실현하고 있다. 현재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도시와 건축에 관한 연구를 함께 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건축사(KIRA) 및 미국 건축사(AIA)이자 서울시 공공건축가로서 도시 건축 계획의 자문으로 일하고 있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9,524
인기
2016.02.29
서로 다른 공간의 합주 / House Unimog
도로변을 지나다 남다른 모습의 건물 한 채와 마주했다. 각기 다른 성격의 두 공간을 자연스럽게 하나에 모은, 실용성에 중점을 둔 저비용 주택이다.취재 김연정 | 사진 Michael Schnabel, Sebastian Berger ▲ 도로변에 위치한 주택. 1, 2층 용도의 차이는 마감재를 달리해 반영했다. SITE PLAN ▲ 주변 집들과 다른 개성 있는 외관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특이한 작업과 쉽지 않은 건축 현장은 큰 도전이지만, 한편으로는 더 큰 잠재력을 일깨워준다. 이곳의 건축주는 자신의 다목적 특수 차량(Unimog)을 둘 수 있는 작업장과 작은 주거공간이 함께할 건물을 원했다. 사이트는 교통 체증이 있는 거리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규모의 개인주택과 농장건물에 둘러싸여 있다. 이 건물을 설계하며 무엇보다 결정적인 변수는 매우 빠듯한 예산이었다.먼저 사이트 위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용도의 두 볼륨을 위로 쌓고, 풍경을 따라 거리에서 주거 공간 방향으로 건물을 세우는 방법을 택했다. 그 결과 주거형태는 ‘수직적’이라는 공간의 특성을 가진다. 또한 두 가지 서로 다른 용도의 차이는 외관을 통해 반영된다.SECTION HOUSE PLAN 대지위치 : Tubingen, Germany프로젝트 : Low budget House-private house with workshop건축면적 : 120㎡(36.3평)엔지니어 : Strobel Bilger Mildner Ingenieure(www.ib-stroebel.de)총비용 : 170.000 Euro설계 : Fabian Evers Architecture www.fabianevers.com Wezel Architektur www.wezelarchitektur.de ▲ 주거 공간의 모습. 넓은 전면창을 통해 마을 전경이 내려다보인다. SOUTH ELEVATION WEST ELEVATION ▲ 주변 농가들 속에 들어선 작업실 겸 주택 ▲ 작업공간의 문은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 1층 작업장은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하였다. ▲ 2층 테라스는 야외활동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장소가 된다. PLAN – 2F / PLAN – 1F 1층 작업장은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하였다. 작업공간은 낮 시간 동안 여과된 자연광으로 가득하고, 밤에는 동네를 은은하게 밝히는 빛의 상자로 변신한다. 생활공간은 하나의 볼륨으로 된 진회색의 외관으로 완성하였다. 각각의 창들과 남향의 로지아(Loggia)는 주변의 아름다운 전망을 감상할 수 있게 한다.내·외부에 선택된 마감재는 디자인 개념을 축소한 실용성에 무게를 두었다. 이곳은 고전적인 주택보다는 작업실이나 합리적인 농가의 모습에 좀 더 가깝게 느껴진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9,514
인기
2016.02.24
스킵플로어가 있는 중목구조 주택
스킵플로어와 높은 천장고, 철물을 이용한 목재의 강력한 결합이 정교한 시공과 버무려져 단단한 집 한 채가 완성 되었다. 전주의 새로 만들어진 택지지구에 세워진 중목구조 주택을 찾았다. 취재 편집부 사진 변종석 ▲ YKKap 폴딩도어는 편리한 손잡이와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준다. “언젠가 지을 집이라면, 아이들이 어릴 때 한 해라도 빨리 짓자”. 전국 주택단지를 돌아보며 마음에 드는 집을 부지런히 찾아온 건축주 부부는 판교에서 마음에 드는 주택 한 채를 발견했다. 일본식 중목구조로 지어진 견고한 인상에 개방감 있는 실내를 가진 집으로, 새 집의 롤모델이 되었다. 건축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내가 원하는 삶을 가장 잘 담을 그릇을 만들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는 것이 가장 지혜로운 방법이다. 부부는 그 집의 설계·시공자를 수소문했다. 사전조사 기간이 길었기에 더욱 단박에 결심할 수 있었다는 건축주는 이들과 계약 후 건축을 진행하면서 그 믿음이 더 커져갔다. “목조주택을 제대로 짓는지 알려면, 골조가 올라가는 사나흘만 지켜보면 돼요. 땅을 다지고 뼈대가 오르는 것을 지켜보면서 저희 부부의 결정을 더욱 확신할 수 있었어요.” 블루하우스코리아에서 사용하는 중목구조(Post-Beam)는 Pre-Cut 방식으로 미리 재단해온 거대한 기둥과 보를 현장에서 조립해 짓는 일본식 구축방식으로 지어진다. 이때, 연결철물이 끼워질 부분끼리 정확히 맞아떨어져야 하므로 오차범위 3㎜만 벗어나도 시공이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기초 콘크리트 타설부터 정확한 시공이 요구되는 것. 비전문가인 건축주 눈에도 현장에서의 효율성과 딱딱 맞아떨어지는 시공과정을 단박에 알아볼 수 있었다. 백 마디 장황한 말보다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확한 시공’에서 얻은 건축주의 귀한 신뢰다. ▲ 남쪽으로 낸 창은 에너지를 받아들여 효율 높은 주택을 완성한다. ◀ 서쪽 진입도로에는 주차장과 메인 현관부가 위치한다. ▶ 실내 1, 2층에 미리 배선해 집 어디에서든 현관문 개폐가 가능하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전라북도 전주시 대지면적: 453.00㎡(137.03평) 건물규모: 지상 2층, 다락 연면적: 277.07㎡(83.81평) 건폐율 : 34.82% 용적률 : 54.03% 주차대수 : 2대 최고높이 : 9.1m 공법 : 지상 – 중량목구조(철물공법) 구조재 : WOODONE, LVL구조목 지붕재 : 갈바륨 단열패널 단열재 : 내단열 - 가디언 R19, R30/외단열 - 네오폴 70㎜ 외벽마감재 : 로투산페인트(독일 STO), 17㎜ 적삼목 채널 사이딩 창호재 : YKKap 알루미늄 + PVC 복합창호(22㎜ 로이복층유리) 설계 및 시공 : 블루하우스코리아(주) 031-8017-5002 www.koreabluehouse.com 설계, 시공과정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다기보다는 건축주 가족에게 딱 맞는, 배려가 숨어 있는 둥지를 빚어가는 과정이었다. 설계를 맡은 블루하우스코리아 정기홍 본부장은 형태를 자랑하는 건물보다는 내·외부 장식을 최소화하고, 건물이 품은 기능들이 자연스럽게 건물 모양이 되도록 설계하기 위해 노력했다. 도로에서 1m 가량 올라서서 조성된 대지 서쪽에 주차장과 주 출입구를 두고 남향으로 집을 지었다. 주차장을 건물 안으로 들이면서 1층과 어긋난 층고 때문에 생긴 평면 일부의 레벨 차이를 1.5층 가족실로 풀어내 쓸모없이 낭비되는 공간을 최소화했다. 1층은 거실과 주방을 하나로 연결하되, 특히 식당이 마당과 바로 면할 수 있도록 짠 배치는 설계자의 배려다. 아이들이 안팎으로 뛰어놀며 자연을 좀 더 가까이 즐기기를 원한 마음이었다. 식구들이 자주 모이는 거실은 장스팬(Long-Span) 구현이 가능한 중목구조의 장점으로, 널찍한 공간감을 한껏 드러낸다. 천장 중간마다 보이는 우물천장의 목재 갈빗살은 화이트톤 주택에 장식적인 효과를 더하는 요소다. ▲ 시선을 적절히 차폐한 주택 진입부 ▲ 넓은 스팬으로 큰 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중목구조의 장점이 거실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목조주택은 철근콘크리트주택에 비해 패시브하우스 수준으로 짓기 어렵지만, 꼼꼼히만 시공한다면 벽체 자체가 단열재가 되기 때문에 ‘따뜻한 집’을 만드는 데 유리한 면이 있다. 이 집은 내단열재로 그라스울을 충진하고 EPS보다 열전도율이 뛰어난 네오폴을 외단열로 더했다. 제대로 양생된 네오폴 보드를 사용하고 플라스틱 화스너와 메지 몰탈, 접착제 등을 꼼꼼하게 사용해 마감한 하얀 외관은, 햇볕을 정면으로 받아도 한 치의 이격이나 요철을 찾아낼 수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 간결하고 실용적인 북유럽풍 가구로 단장한 거실 ▶ 건축주의 성향을 고려해 넉넉하게 마련된 드레스룸 ◀ 주차장 상부에 마련된 1.5층 높이 가족실 ▶ 수전과 변기를 욕실 밖으로 건식시공하고 욕조와 샤워공간만 습식으로 만든 공용 욕실부INTERIOR SOURCES 내벽마감 : 크벽지, 적삼목 무절루버 바닥재 : 풍산, 강마루 욕실 및 주방타일 : 자기 & 도기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바스 주방 가구 및 붙박이장 : 애쉬오크 제작가구, 우레탄도장가구 조명 : 매입형 LED, 팬던트 조명 계단재 : 애쉬오크 현관문 : YKKap, 베나토 현관문 방문 : WOODONE, simple selection도어 데크재 : 방킬라이 주차장 : 30㎜ 화강석 버너마감 ▲ 각자의 발코니를 가지며, 간결하게 구성한 방 ▲ 2층 계단을 오르면 다락으로 오르는 계단이 한 번 더 등장하며, 가족실이 내려다보이는 수전공간이 있다. 사실 건축의 과정 중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 매 순간이 의사결정의 순간이고 그 결정에 따라 결과물이 확연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건축주의 생각을 읽고 이것을 구현해주는 설계와 그만큼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시공, 이 두 주체만 제대로 찾아낸다면 집짓기는 그리 머리 아픈 일이 아니다. ‘삼대(三代)가 편안하게 살 수 있는 좋은 집’이라는 단순하면서도 핵심 있는 명제를 들고 집 지어줄 전문가를 찾아 헤맨 건축주 부부. 그 피곤하고 귀찮은 사전조사 과정이 ‘잘 설계되고 시공된 우리 집’으로 보답된 지금, 사는 내내 그 고단함을 보상받고도 남지 않을까.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span lang="E
전원속의내집
조회 25,379
인기
2016.02.24
구기동 주택 개조 프로젝트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오래된 주택에 세 가족을 위한 공간이 설계되었다. 건축가 남편이 팔을 걷어붙이고 디자이너 아내가 감각을 더한 주택 개조 이야기. 취재 김연정 사진 변종석 / 취재협조 디자인 ANPAK 02-3417-8000 www.anpak.co.kr ▲ 1층 전경. 감각 있는 부부의 취향이 잘 반영됐다. ◀ 시간의 흔적이 묻어나는 벽돌과 방금 칠한 듯한 새하얀 외벽이 리노베이션된 주택임을 짐작케 한다. ▶ 작은 철문을 지나면 옛집의 모과나무를 그대로 심어 놓은 아담한 데크와 마주하게 된다. 북한산이 보이는 조용한 골목길에 자리한 붉은 벽돌 주택. 차도 사람도 뜸한 한적한 정취 안에 모던한 스타일로 안착한 멋스러운 집이 있다. 이 집의 주인인 김학중, 하초희 씨 부부가 만만치 않다는 주택 개조에 뛰어든 데는 ‘건축가’라는 남편의 직업이 한몫 거들었다. 시골에서 자라 정감 있는 동네에 살고 싶다는 남편의 막연했던 바람이 아내의 응원과 도움으로 최근 현실이 된 집이기도 하다. 40년도 넘은 집은 점잖고 우직한 외관을 지니고 있었다. 비교적 잘 지어진 튼튼한 건물이라 외부는 크게 손대지 않기로 했다. 다만 낡은 내부는 가족이 살기 편리하게 매만지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번 공사는 모든 디자인이 머릿속에 그림 그리듯 떠올라 쉽게 진행됐어요. 저희 가족이 살 집이고 예산도 명확해서 더 확신이 있었던 것 같아요.” 즐거운 책임감이 따르게 된 공사는 남편의 지휘 아래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부부의 취향이 고스란히 반영된 콘셉트가 커다란 보드에 하나씩 더해지며 구체적인 밑그림이 그려졌고, 골조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에 새로운 공간이 그려지고 마감이 더해졌다. 부부는 각 공간에 들어갈 가구도 틈틈이 디자인하고 골랐다. 각별한 만큼 애정이 깃든 작업은 2개월만에 제 모습을 갖췄다. ▲ 아내를 위한 공간인 주방 전경. 나무와 철제의 조화가 멋진 식탁은 거실과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는 파티션 역할을 한다. ▲ 남편의 사무 공간. 일과 일상이 한 지붕 아래 이뤄진다. 낡은 벽지로 도배되어 있던 내부는 깨끗한 화이트 도장으로 단장했다. 바닥 역시 내추럴한 그레이 톤의 타일과 우드를 감각적으로 매치해, 기존 주택의 예스러운 분위기는 완벽히 자취를 감췄다. 특히 거실의 넓은 창 안으로 가득 담긴 오래된 담장의 모습은 시공간을 초월한 인상을 준다. 1층은 건축가인 남편의 사무공간을 함께 배치하여 한 지붕 아래 일과 일상이 공존토록 했다. 생활의 메인 공간이나 다름없는 거실과 미닫이문 사이로 오픈된 구조를 취한 덕에 가족은 각자의 활동을 하면서도 친밀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현관 우측에 자리한 주방에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했다는 스테인리스 싱크대가 빛을 발한다. 소재때문에 주방이 너무 차가워 보이지 않을까도 싶었지만, 상부장을 없애고 따뜻한 느낌의 나무 선반을 설치해 공간에 오히려 온기가 돈다. “집을 개조하며 아내가 요구했던 부분은 ‘이전 집에서 불편했던 점을 개선할 것’, 그리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몇 가지 공간을 더할 것’이었어요. 실용성을 부여한 보조주방도 그중 하나였죠. 필요 이상으로 컸던 이전 욕실의 일부를 재구성하여 얻은 결과이기도 해요.” INTERIOR SOURCES 바닥재 : 외부 - 잡석 위 콩자갈 / 화강석버너구이 발판 내부 - 1층 포쉐린타일(600×600), 2층 천연마루(구정마루 우노다빈치 TEAK) 욕실 및 주방타일 : 석재타일 및 시멘트타일(키엔호)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및 쿠세라 / 맞춤욕조 주방가구 : 디자인 자체 주문제작(스테인리스 싱크대) 현관문 및 방문 : 디자인 자체 주문제작 데크재 : 21T 천연데크(이페) 위 투명오일스테인 마감 내단열보강 단열재 : E-보드 계단재 : 발크로멧 25T ◀ 슬라이딩 도어를 사이에 두고 사무공간과 주거공간이 함께 한다. ▪ 직접 제작한 블루 톤의 문은 2층 공간의 포인트가 되어 준다. ▶ 아담한 크기의 2층 가족실 ▲ 심플하게 꾸민 2층 부부 침실. 비울 곳은 비워가며 공간에 재미를 줬다.중후한 분위기를 물씬 풍겼던 원목 계단은 블랙 컬러의 발크로멧(Valchromat : 친환경 컬러 MDF)으로 변화를 주었다. 여기에 콘크리트 보가 그대로 노출된 천장이 더해지니, 집은 스튜디오 같은 시크함마저 느껴진다. 계단을 지나 2층으로 올라가면 지극히 사적인, 세 가족을 위한 공간과 마주한다. 먼저 부부 침실은 반듯한 사각 프레임의 창이 고요한 동네 풍경을 담고 있다. 블루 컬러의 제작문과 똑떨어지는 내부 마감, 군더더기 없는 인테리어로 안정감 있는 공간을 완성했다. 한쪽에는 가벽을 세워 큰 구조 변경 없이 드레스룸도 확보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부부가 꼽은 이 집의 백미는 2층 욕실이다. 아이와 함께 사용하는 만큼 욕실은 중요한 요소였다. 거실의 연속적인 바닥 마감을 따라 들어가면 우측엔 거실의 일부를 단을 주어 만든 샤워공간과 1,000×800 사이즈의 아담한 욕조를, 좌측엔 기존 화장실의 일부인 좌변기와 세면대를 놓아 동선의 효율성을 높였다. 북한산이 보이는 욕조 옆 작은 창문을 통해 계절이 바뀔 때마다 다른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니, 완벽한 휴식 공간이 따로 없다. “주택개조라 해서 전부 손을 봐야 되는 건 아니에요. 저 역시 집을 어떻게 고칠까보다는 어느 부분은 살려둘까를 먼저 생각했으니까요. 어떤 건물이든 잘 찾아보면 작더라도 소중하게 느껴지는 무언가가 있어요. 옛 것과 새로운 것의 조우는 오히려 신축건물보다 더 매력 있고 빛나는 것 같아요.” 시간의 흐름으로 생긴 멋은 돈으로 살 수 없는 특별한 것이다. 건축가 김학중 씨가 앞으로 계속 리노베이션 작업을 하고 싶은 것도 바로 이런 매력 때문이다. 생활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수록 좋은 집이 탄생한다는 것은 지당한 논리. 게다가 건축주가 직접 자신의 편의에 맞게 개조한 결과라면 그 만족감이 얼마나 클지는 묻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앞으로 두 살배기 딸 지이가 크면 또 한 번의 크고 작은 공사가 필요할 것이다. 감각 있는 부부는 무엇을 더 추가하고 교체해볼까 벌써부터 궁리 중일지 모른다. 집에 대한 애착, 인테리어에 대한 열정. 이것 또한 개조 작업이 남긴 소중한 결과물이다.▲ 다용도 공간을 중심으로 우측엔 샤워공간과 욕조를, 좌측엔 기존 화장실의 일부인 좌변기와 세면대를 놓아 동선의 효율성을 높였다. ▲ 현재 수납 용도로 사용 중인 다락방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8,755
인기
2016.02.17
마을 풍경을 바꾸는 다가구 주택 03 / BRICK HOUSE
삭막한 다가구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는 파주 택지지구 한가운데, 사람 냄새 물씬 풍기는 다가구 주택이 눈에 띈다. 건축가의 섬세한 배려와 기획으로 거주민의 애착을 끌어올리며, 자본 논리에 잠식당한 다가구 주택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보여준다. 취재 편집부 사진 신경섭 주택가의 풍경을 대다수 차지하는 다가구 주택은 개별로 지어지는 건물이다. 다양한 모습으로 마을의 풍경을 만들어 내야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골목에 들어찬 공동주거의 모습은 미니아파트와 다름없이 보인다. 다양한 거주자의 삶의 단편을 드러내기는커녕 머리부터 발끝까지 경제성만 고려된 집들로 가득하다. 싸고 빠르게 지어서 주변 시세에 방을 내놓아 월세를 꼬박꼬박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논리이다 보니, 동네의 풍경은 삭막해 지고 그곳에 머무는 임대인에게 월세방은 그야말로 잠시 머무는 피난처에 불과하다. 사이트 주변의 건물들도 그리 다르지 않았다. 다가구 주택 설계에 있어 우리는 거주하는 사람이 자신이 머무는 공간에 애착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했다. 좋은 건축이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임대의 수익성으로도 연결된다는 생각을 건축주와 공유하며 설계했다. 섬세하게 계획된 공간 속에서 보내는 시간들은 집으로 돌아오는 시각을 앞당길 것이다. 이것이 삭막한 다가구 건축에 대한 하나의 소박한 해결책이라 여겼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대지면적 : 304㎡(91.96평) 건물규모 : 지상 3층 건축면적 : 95.96㎡(22.98평) 연면적 : 221.02㎡(66.87평) 건폐율 : 24.99% 용적률 : 72.70% 주차대수 : 지상 5대 최고높이 : 9.9m 공법 : 기초 – 철근콘크리트조 지상 – 철근콘크리트조 구조재 : 철근콘크리트조 단열재 : 비드법보온판 외벽마감재 : 치장벽돌(청고벽돌) 창호재 : LS창호 설계 : (주)건축사사무소 서가 시공 : 바로세움 건축비 ▲ SECTIONINTERIOR SOURCES 내벽 마감 : DID벽지 바닥재 : 강화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영진브라벳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요업 주방 가구 : 하이그로시 마감 조명 : 을지로 조명 계단재 : 석재타일 방문 : 영림도어 붙박이장 : 하이그로시 마감 ▲ PLAN – 1F / PLAN – 3F네다섯 걸음이면 어디든 갈 수 있는 원룸의 내부공간에 비해 길에서 집으로 들어가는 길은 상대적으로 길다. 건물 출입문을 들어와도 다시 계단이 있다. 집으로 가는 총총한 작은 여정, 길에서부터 각자 집의 현관문에 이르는 공간들이 내 집의 일부처럼 느껴지길 바랐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회색 고벽돌 질감과 세대별로 돌출된 발코니는 형형색색의 주변 건축물 사이에서 차이를 가지며 서 있다. 빛이 충만한 계단실은 여러 가구의 사람들이 마주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남쪽의 빛을 받아들이는 위치에 배치하였다. 넉넉지 않은 전용공간은 결혼하기 전 다년간 자취생활을 한 건축가의 경험이 묻어 있다. 1인 가구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다루면서 최대한 짜임새 있는 공간구성을 계획하였다. 보편적인 ‘원룸’이란 말 그대로 하나의 큰 방으로 구성되는 형태인데 작은 공간이지만 주방과 화장실을 주생활공간과 분리하여 거주공간으로 부족함이 없도록 했다. 또한 남쪽으로 큰 창을 만들어 빛이 주방까지 깊게 들어오게 하되 각 창마다 돌출된 발코니를 설치하여 사생활을 보호하였다. 이 돌출된 발코니는 에어컨 실외기가 놓이기도 하지만 원룸의 작은 외부공간으로서 소소한 식물이 자라는 화분을 놓거나 때때로 빛 좋은 날 빨래를 널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것이다. <글 _ 박혜선·정재학> 취재협조 (주)건축사사무소 서가 경복궁 옆 서촌에서 역사문화도시의 건축에 관심을 가지고 주민참여디자인을 통한 지역재생, 한옥과 현대건축을 접목하는 작업 등을 하고 있다. 아파트와 전통건축, 근대 건축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현대의 다양한 삶을 담는 주거형태를 찾고 있다. 02-733-4641 http://blog.naver.com/designseoga※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기사는 본사에서 발간한 단행본 'MULTI-FAMILY HOUSE/ 다가구ㆍ다세대ㆍ상가주택'에 소개된 내용으로 책에 대한정보 및 구매는 아래를 참고하세요.^^http://www.uujj.co.kr/shop/item.php?it_id=1441157306
전원속의내집
조회 22,924
인기
2016.02.17
마을 풍경을 바꾸는 다가구 주택 02 / WHITE HOUSE
다세대 주택이 들어서기에는 작은 면적인 30평 대지에 아홉 가구를 위한 집을 지었다. ‘삶의 질’을 우선순위에 둔 설계로 방배동 오래된 주택밀집지역에 눈에 띄는 건물이 자리잡았다. 취재 편집부 사진 조재욱 방배동이라고 하면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화려한 이미지와 달리, 방배본동은 오래된 4~5층짜리 건물들이 밀집돼 있는 구도심 마을이다. 하지만 기존 건물을 헐고 신축 공사가 진행될 정도로 낡은 것도 아니다. 근래 15년 동안 변화가 없었던 마을에 새롭게 들어서는 건물은 설계자 입장에서는 장점일 수 있으면서 매우 큰 난제가 될 수 있는 요건이었다. 다세대주택이 이미 포화를 이루고 있는 동네 한복판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려면 아주 신선한 공간을 제안할 필요가 있었다. 건축주뿐 아니라 예비 입주자도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를 한다는 것은 당연한 듯하면서도 쉽지 않다. 고민 끝에 설계자의 고객이 건축주라면 건축주의 고객은 입주자이니, 결국 거주할 입주자 입장에서 설계하면 된다는 생각을 요앞 하얀집의 시작점으로 삼았다. 젊은 설계자 3인방에게 어울리는 발상이면서도, 어찌 보면 공간은 사용자의 편의를 최우선 과제로 해야 한다는 건축의 원칙에 기반한 생각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대지는 3면이 도로에 닿는 코너 땅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폭 8m에 길이 20m의 좁고 긴 땅이라는 특이점이 있었다. 다세대주택이 들어서기에는 작은 면적이었다. 건축주가 희망한 아홉 세대가 들어가기에는 아주 빠듯했다. 신선하면서도, 부족한 공간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인 건물을 낳기 위해 고심했다. 우리는 여러 원룸의 단순한 집합이 아닌, 하나의 커다란 주택처럼 보이는 건물이라는 발상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세입자의 생활의 질을 최우선 순위에 두니 의외로 쉽게 답이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변 건물들에 비해서는 높이나 외관 규모가 크지 않은데도 한눈에 보기에 커다란 덩어리로 보이는 역설적인 건물이 탄생했다. 건물이 커보이는 건 단지 하얀 색이어서만은 아니다. 건물 안팎으로 대개의 다세대주택이 가진 경직성에서 탈피하는 데 성공한 결과다. 먼저 옥상 층을 주택의 지붕 모양으로 형상화하고 외관에서 보이는 각 세대의 창문이 비정형으로 놓이게 했다. 또 연통, 그릴창, 가스관 등 외벽에 세대의 경계를 그어버리는 요소들을 최대한 숨겼다. ▲ BEFORE HOUSE PLAN 대지위치 :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대지면적 : 175m²(52.94평) 건물규모 : 지상 5층 건축면적 : 99.15m²(29.99평)연면적 : 349.42㎡(105.70평) 건폐율 : 56.62% 용적률 : 199.55% 주차대수 : 4대 최고높이 : 17.6m 공법 : 기초 - 매트기초, 지상 - 철근콘크리트구조(벽식) 구조재 : 철근콘트리트구조 단열재 : THK85 단열재 가등급 1호 외벽마감재 : 스터코플렉스 창호재 : PVC 제작창 설계 : 디자인밴드 요앞 시공 : 이인시각 이렇게 하자 일석이조의 결과가 생겼다. 또 다른 설계자의 의도가 실현된 것이다. 설계자는 시각적 효과를 고민하면서, 단순히 ‘예쁜 것’이 아니라 거주자들이 실생활 안에서 겪게 될 정서적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기준을 두었다. 즉 고층에 위치한 투룸 거주자든 저층의 원룸 거주자든 건물에 들어설 때는 자신의 방 한 칸이 아닌 집 전체로 들어간다는 느낌이 들게 하려고 의도했다. 다세대주택에서 공용면적은 이름만 ‘공용’이지 지금까지 누구의 것도 아닌, 어쩔 수 없이 존재하는 공간이었다. 설계자는 이를 뒤집었다. 투룸이나 원룸에 사는 사람들은 삭막한 정서 속에서 살기 십상이다. 설계자는 옥상과 통로 등의 공용면적을 진정한 의미에서의 ‘공용’으로 만들어, 거주자들이 사용하는 공간을 각자 임대한 방에서 공용공간으로 확장시키고자 했다. 설계자 3인방의 젊고 트렌디한 감각에 부합하는 컬러를 입히고 계단 난간에 와이어라는 감각적인 요소를 사용해서 공간의 개방과 확장을 완성했다. 그러면서도 각자의 공간에서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철제프레임을 둘러 창에 깊이감을 줬다.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세대수를 최대한 늘린다는 목적도 약간의 위트를 넣어 달성했다. 일조사선 규정인 8m 안에 3개 층을 넣으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단점은 각 세대 층고가 열악해진다는 것이었다. 설계자는 새로운 접근으로 이를 보완하는 방법을 찾았다. 화장실과 부엌을 한데 배치함으로써 설비배관이 그 안에 집중되도록 하고, 배관이 지나지 않는 거실의 천장 공간을 최소화하여 열악한 층고를 극복했다. 역설적이게도, 요앞 하얀집이 완공되자 건물 하나가 더 크게 들어섰는데도 동네가 빽빽해진 게 아니라 한층 여유로워진 느낌이다. 채워지거나 보태진 것이 아니라 비워진 인상을 준다. 복잡한 방배본동 골목길 한 어귀에 요앞 하얀집은 하나의 즐거운 위트처럼 서 있다.<글 _ 김도란·류인근·신현보> INTERIOR SOURCES 내벽 마감: DID벽지(세대 내), KCC페인트(공용부) 바닥재: 이건마루 주방 타일: 강화 컬러유리 수전 등 욕실기기: 대림바스 주방 가구: 제작 계단재: 콘크리트 + 컬러에폭시 마감 현관문: 철제 제작 현관, 망입유리, 분체 도장 방문: ABS도어, 디럭스도어 평판(화이트) 붙박이장: 제작 데크재; 방부목 주계단 난간: 와이어 로프 ▲ PLAN – 2F /PLAN – 5F취재협조 디자인밴드 요앞 디자인은 지속적이고 즐거워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김도란·류인근·신현보 건축가가 세운 디자인밴드 요앞. 건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로 건축적 상상을 펼쳐 아이템으로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젊은 디자이너 집단이다. 070-7558-2524 www.yoap.kr※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기사는 본사에서 발간한 단행본 'MULTI-FAMILY HOUSE/ 다가구ㆍ다세대ㆍ상가주택'에 소개된 내용으로 책에 대한정보 및 구매는 아래를 참고하세요.^^http://www.uujj.co.kr/shop/item.php?it_id=1441157306
전원속의내집
조회 23,973
RSS
검색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열린
26
페이지
27
페이지
28
페이지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Guest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