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메뉴 준비 중입니다.
HOUSE
검색
RSS
포인트정책
HOUSE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전체 623건 / 32 페이지
전체
house
living
culture
인기
2014.11.28
리듬감이 느껴지는 공간 Naruse House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외부에서 보면 평범한 단층의 목조주택. 하지만 집 안으로 들어서는 순간, 바닥의 단 차이에서 오는 리듬감이 실내 곳곳에 남다른 공간을 선사함을 알 수 있다.취재 김연정 사진 Masao Nishikawa탄화시킨 삼나무로 블랙 컬러의 외관을 완성했다. 기복 있는 땅 위에 세워진 주택은 도쿄 근교의 한 주거지역에 위치한다. 대지는 세 갈래로 나눠지는 도로의 교차점, 약간 경사진 불규칙한 모양의 부지다.건물의 평면은 대지 경계와 평행하게 배치된 외벽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외벽을 끊고 주차공간과 정원을 내었다. 가족 개개인의 사적인 공간은 외벽을 따라 배치하고, 나머지 공간은 가족의 화합을 위한 공공장소로 구성된다. 공용공간을 구획하는 벽들은 공간적인 축을 따라 주변에 맞게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어 뒤틀린 공간감을 만들어낸다. 1층 바닥은 대지의 경사를 따라 계단식으로 이어지고, 그 중심에 위치하는 바닥은 다이닝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다.주택은 경사진 불규칙한 모양의 대지 위에 세워졌다. 공용공간은 깊은 처마로 덮인 테라스와 현관 출입구로 확장하면서 그 너머의 외부공간과 연결된다. 개인 공간과 공용공간은 양쪽에서 사용 가능한 선반과 책상들로 느슨하게 구분된다. 테이블과 연계된 대형 의자로 사용되는 바닥과 테이블로 사용 가능한 바닥, 공간적인 축을 따라 설치된 불규칙한 형태의 선반들을 비롯하여 대지와 건축과 가구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심플하게 만들어진 주택의 입구주택의 현관부 모습. 곁으로 작은 작업 공간도 마련되었다.외부 마감재가 내부 천장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분위기 조화를 이룬다. 바닥의 단 차이를 이용해 각 실이 구분되고, 리듬감 있는 내부 공간이 설계되었다.아늑함이 느껴지는 부부 침실욕실 전경. 타일 마감과 산뜻한 컬러의 문 프레임이 조화롭다.계단, 책장, 책상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다.저층고의 단층 경사지붕을 설계함으로써 이 주택이 주변 환경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게 했다. 지붕은 서쪽 출입구에서 낮은 높이를 유지하며, 남동쪽 방향으로는 아름다운 녹지가 내려다보이는 전망 테라스를 따라 큰 창문들을 냈다. 단면으로는 경사진 천장과 회전 벽체, 계단식 바닥을 조합하여 극적인 공간을 실현했다. 이 주택은 바깥에서 보면 평범한 경사지붕 주택으로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눈이 휘둥그레질만한 공간 경험을 제공하는 잠재력을 가진다.House Plan대지위치 Machida-City, Tokyo건물용도 Residence 대지면적 229.84㎡(69.52평)연면적 94.91㎡(28.71평)구조 Wood 외부마감 Yakisugi지붕재 Galvanized color steel sheet standing-seam roofing내부마감 벽 - Acrylic emulsion paint + plaster board 바닥 - Oak flooring 천장 - Cedar board upright paneling + OSCL설계 MDS(Kiyotoshi Mori & Natsuko Kawamura) www.mds-arch.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7,940
인기
2014.11.28
무용가 가족을 위한 집 Theaterhouse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새로 지어진 집들이 오밀조밀 모인 용인의 한 주택단지 초입. 콘크리트 겉옷을 입은 작은 규모의 주택이 내려앉았다. 외관부터 범상치 않은 이곳은 무용가 아내와 디자이너 남편, 그리고 초등학생 딸이 새로운 이야기를 함께 써 내려가는 집이다.취재 김연정 사진 변종석평범하지 않은 외관의 아담한 주택 전경40대 중반의 부부와 예쁜 초등학생 딸, 세 식구가 늘 바라왔던 주택에서의 삶이 시작되었다. 이곳에 온 후 아침에 일어나 가장 먼저 하는 일은 거실에 앉아 시원하게 펼쳐진 창밖 풍경을 바라보는 것이다. 건축주 부부는 불과 2개월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여유로움을 하루하루 몸소 깨닫는 중이다. 사실 지금의 결과를 가져오기까지, 그 과정이 그리 쉽진 않았다.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한 집짓기라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감조차 오지 않았다고. 어쩌다보니 우여곡절 끝에 설계까지 마쳤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도무지 가족에게는 어울리지 않을 집이었다.실내는 레벨차를 통해 다채로운 외부 풍경을 담는다. 도로와 맞닿은 입구는 사각으로 심플하다. 부부 침실과 연결된 외부 계단내부 공간의 형태가 외부 입면에 고스란히 나타난다.평생 살지도 모르는데, 급하다고 가족과 맞지 않은 집을 지을 순 없었다. 기대에 부풀었던 첫 설계안은 그렇게 포기해야 했다. 집짓기를 시작도 하기 전부터 점점 지쳐갈 때쯤, 우연히 읽게 된 책에서 그동안 꿈꿔왔던 집을 보게 되었다. 고민할 필요도 없이 바로 건축가에게 연락한 부부는, 1여 년이 지난 후 이 집을 만나게 되었다.“매일 매일이 새로워요. 시간마다 바뀌는 바깥 풍경이 좋고, 눈 뜰 때마다 달리 보이는 내부공간들이 참 마음에 들어요. 한차례 어려움을 겪고 지은 집이라 더 애정이 가는 것 같아요.”집 의 북측면과 서측면은 프라이버시와 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막힌 입면을 만들고, 동측의 숲과 남측의 열린 전망으로 큰 창을 내었다. 입면의 벌집 모양의 형태는 내부 동선을 고려하는 동시에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기 위한 결과이기도 하다. 야트막한 경사지에 앉아있는 주택 전경가족들만의 안마당은 가을 정취를 맘껏 누리는 호사를 준다.수납공간도 배려한, 화이트 컬러의 주방2층 부부의 방에는 늘 따스한 빛이 쏟아진다. 딸아이의 방. 가구도 맞춤 제작해 주었다.이 집의 특별함은 내부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2층 집이지만 3개의 레벨로 나눠 다양한 공간을 만들어냈다. 주차를 하고 현관문을 열면 식당, 부엌, 다용도실과 마주하게 된다. 1m 올라가면 거실, 그리고 1.5m 올라가면 부부침실과 딸의 방, 욕실이 나온다. 각각의 레벨은 외부로 연결되어, 내부의 이벤트가 외부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건축주의 요구처럼 특별한 가구 없이 심플하게 살면서도 적절한 수납이 이뤄지도록 각 실에 맞게 가구를 제작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고려되었다. 또한 내부의 경사진 벽은 계단이나 이층침대, 테이블 등을 밀도 있게 압축한다. 특히 거실은 무용을 하는 아내가 언제든 춤을 출 수 있도록 배려한 흔적이 엿보인다. 평범했던 공간은 거울 벽이 더해져 무대가 되고, 2층으로 올라가기 위한 계단은 값진 객석이 된다. 작은 집이지만 가족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담아낸 집. 따뜻하고 아늑한 공간 속에 가족의 이야기를 채워주니 매일 행복도 함께 자라난다. 2층 집이지만 3개의 레벨로 나눠 다양한 공간감을 형성하였다. 담소를 나누는 정의엽 소장(좌)과 건축주 김은현 씨(우)INTERVIEW 건축가 정의엽어떻게 설계하게 된 주택인가? _ 전작 ‘화가의 스튜디오(Skinspace, 2010)’를 인상 깊게 본 무용가 가족이 고민을 가득 안고 찾아왔다. 산업디자이너 남편과 초등학생 딸이 거주할 집을 짓기 위해 설계와 건축허가까지 이미 마친 상황이었다. 설계도면을 보니 경사가 심한 대지를 평평하게 만들기 위한 토목공사가 많고, 건축규모나 디자인이 건축주의 주어진 예산에 비해 과했다. 한마디로 예산에 맞지 않는 설계였다. 더 큰 문제는 감성적으로 예민한 건축주가 이 집에 살고 싶은 욕구를 별로 느낄 수 없다는 것이었다. 현실적인 예산을 고려하여, 규모를 반으로 줄이고 토목공사를 거의 하지 않고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작지만 그들의 요구를 충분히 담을 수 있는 입체적인 집이 가능하리라 보았다. 건축주 요구사항은 어떻게 풀어냈는지 _ 심 플한 디자인을 좋아하는 남편의 취향과 빠듯한 시공예산 외에, 건축설계에 대한 특별한 요구는 없었다. 예술적인 분야에 일하는 그들의 감성을 이해하려고 건축주의 공연을 관람하고, 가족과 대화를 나누면서 그들의 생활방식과 감성을 이해하려 했다. 크지 않은 집이지만 다양한 감성을 지닌 공간들로 채우고, 여기서 무용연습 등의 이벤트가 일어나기를 바랐다. 이 집의 이름처럼 극장과 집이 결합된 공간을 만드는 것이 아이디어였다. 2층집이지만 3개의 레벨로 나누고 중간레벨에 거실을 두었다. 각 레벨은 서로 열려있어 무용을 할 때면 거실은 무대가 되고 나머지 레벨 어디서나 이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계단은 관람석과 수납의 기능을 겸한다. 남편과 아이에게는 집 안 어디서나 놀 수 있고, 일할 수도 있도록 고려했다. 설계 및 시공까지의 과정은 _ 정육면체는 구체 다음으로 최소의 외피에 최대의 부피, 즉 내부공간을 가진 형태이다. 단순한 외관에 비해 입체적인 내부공간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기 때문에, 투시도를 많이 보여줌으로써 건축주와 시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노력했다. 시공 중, 경사부분에 대한 오차와 완성도 면에서 약간씩 문제가 있었고 예산의 한계 때문에 어느 정도 타협해야 했다. 내·외장재 선택에 따른 효과는 _ 내 부의 경사진 벽체들은 기능적인 역할 외에 목재마감의 살아있는 패턴과 함께 동적인 운동감과 활기 있는 감성을 드러낸다. 거실의 경사진 벽체를 타고 목재패턴이 퍼져나가고 주변 공간은 흰색의 여백으로 남는다. 내부구조가 투영되어 정직하게 만들어진 외벽은 최대한 심플하고 저렴한 방식의 노출콘크리트로 처리하였다. 완공 후 아쉬운 점이 있다면 _ 시공의 완성도를 기대하기는 힘들었고, 완공하는 것에 집중했다. 노출콘크리트와 내장목재 마감은 특히 아쉽다. 외부 조경은 거의 신경을 쓰지 못했고, 살아가면서 주인의 손길을 통해 점차 진행되길 바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과정을 즐기며 살아가는 가족을 보며, 그마저 새로운 추억으로 쌓여가기를 기대해본다. House Plan 대지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대지면적 330㎡(99.82평)건물규모 지상 2층건축면적 64.8㎡(19.60평)연면적 99.81㎡(30.19평)건폐율 19.64%용적률 30.24%주차대수 2대최고높이 5.7m공법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 지상 - 철근콘크리트 벽구조재 철근콘크리트지붕재 우레탄도막방수 위 무근콘크리트단열재 압출법보온판 특호외벽마감재 노출콘크리트 위 발수제내벽마감재 더글라스합판, 석고보드 위 페인트창호재 시스템창호, 로이삼중유리바닥재 온돌마루시공 건축주 직영공사설계 에이엔디건축사사무소 정의엽 070-8771-9668 www.a-n-d.kr건축비 3.3㎡(1평)당 420만원 Interior Source페인트 삼화페인트(아이생각), 올림픽 투명오일스테인타일 중국산 백색타일수전 등 욕실기기 세면대 INUS L631, 양변기 INUS C853조명 LED 다운라이트, T5형광등바닥재 이건마루 / 온돌마루(화이트오크)주방기기 무명회사 싱크제작현관문 단열 현관문방문 현장 제작(마감재 합판 / 수성페인트, 더글라스합판 / 오일스테인) 데크재 방부목 / 오일스테인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1,434 댓글 1
인기
2014.11.28
모악호수집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어릴 적 누린 공간적 경험들은 아이의 정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산과 호수에 둘러싸인 마을, 그 안에 자리 잡은집은 세 아이의 풍성한 유년 시절을 바라며 디자인되었다. 배치와 구성, 모임과 분리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키 큰 단층집이다.구성 이세정 사진 이남선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모악호수집은 전라북도 모악산도립공원과 구이저수지 사이에 위치한 택지개발지구에 자리 잡은 단독주택이다. 건축주는 세 아이를 둔 30대의 젊은 부부다. 건축주 가족은 아이들이 회색 콘크리트의 도심보다는 산과 들, 호숫가에서 유년시절을 보낼 수 있길 원했고, 그들의 집이 건조한 거주지 이상의 풍성한 공간적 경험들을 제공할 수 있길 바랐다. 마을 이웃과의 소통, 가족들의 사생활 보호, 유년 시절을 보내는 집의 의미와 주부의 생활공간으로서의 집에 대한 고민들을 중심으로 진행된 작업이다.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안마당에는 다양한 활동을 겸할 수 있는 색다른 디자인의 원형 데크를 두었다.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도시적 맥락과 배치 _ 전주를 벗어나 남쪽으로 고속도로를 15분쯤 달리다 보면 평야들 사이로 꽤나 높고 험한 산세가 시작된다. 이 산자락들이 모여 모악산을 이루며 모악산의 동쪽으로는 구이저수지라는 제법 큰 인공호수가 있다. 모악레이크빌은 바로 이 모악산과 구이저수지 사이에 위치해 주택지로서는 보기 드문 풍광을 즐길 수 있다. 과거 전답이었던 땅이 호수를 따라 160여 필지의 주택용 대지와 각종 주민편의시설로 개발되었는데 모악호수집은 그 중 진입도로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진입도로에 서서 단지를 바라보면 이제 지어지기 시작한 몇 채의 주택들의 경사지붕과 뒤로 펼쳐진 산봉우리들이 만들어내는 장면은 꽤 인상적이다.8m 도로에 접한 대지는 보행자 전용도로를 사이에 두고 이웃 대지와 마주보고 있다. 대지는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동ㆍ서 방향으로는 모악산과 구이저수지의 수려한 경관이 펼쳐져있고 남ㆍ북 방향으로는 이웃대지들과 접해 있다.건물은 남향 빛이 넉넉하게 들 수 있도록 남북방향으로 배치가 되어 있다. 동시에 진입마당 및 현관, 그리고 주차장 건물을 도로변을 따라 동서방향으로 길게 배치해 안마당과 침실 영역을 건물의 배치를 통해 자연스레 도로에서 물리적, 시각적으로 분리시키고 있다. 벽과 지붕으로 둘러싸인 외부 공간 공간구성과 기능 _ 모악호수집은 대지 위에 단층으로 펼쳐지듯 구성되어 있다. 복층형식을 취할 경우 한 층의 바닥 면적이 아이들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담기에는 협소할 수 있다는 기능적 관점을 고려했다. 또한 외부에서 보기에 넓은 대지 안에 좁고 높은 건물이 서 있을 때 건물과 대지 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심미적인 판단의 결과이기도 하다.단층임에도 불구하고 건물은 5.6m의 층고로 넉넉한 다락공간을 형성하고 부분적으로 높은 층고를 확보해 아파트와는 확연히 다른 공간감을 제공하도록 했다.건물 진입부에위치한 아담한 전정(前庭)에서 창을 통해 자연스레 내부로시선이 확장된다. 진입 현관은 주거에서 가족들간의 공적 장소인 식당과 주방을 거쳐 가족들, 특히 아이들을 위한 극장식 계단으로 연결된다. 도로변에 위치한 이 공적 장소는 높은 층고와 열린 공간으로 계획해 시각적 여백을 줬다. 식당과 연계해 옛 한옥의 사랑채와 같은 예비방을 마련해, 평소에는 식당의 확장공간으로 사용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손님방으로 변용할 수 있게 의도했다.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복도 끝으로는 지붕이 있는 포치 개념의 야외 공간이 자리한다.계단에서 내려다 본 거실 전경. 주방과 욕실의 구조체가 내부에 하나의 볼륨으로 비친다.극장식 계단을 지나면 1.8m의 넓은 복도에 이르게 된다. 이 복도는 필요에 따라서 인접한 아이들 침실과 한 공간으로 쓰일 수 있게 계획했으며 주방에서 주부가 일을 하면서도 나머지 가족들과 시선교류를 할 수 있게 주방과도 연계해 배치했다. 복도는 반-외부공간인 잔디마당과 연결된다. 잔디마당은 외부공간임에도 벽과 지붕으로 둘러싸 내부공간처럼 꾸몄다. 이곳에서 아이들이 모래나 흙을 이용해서 좀 더 활동적인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했고 해먹도 설치하게끔 했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침실, 침실 앞 복도, 그리고 반-외부공간인 잔디마당을 오가며 놀이와 학습을 한다. 아이들을 위한 또 하나의 특별한 장소는 바로 다락 공간이다. 아이들에게 다락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낮고 어두운 다락은 오히려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모악호수집에서는 극장식 계단을 자연스레 확장해 다락을 형성했고 채광창을 적절하게 배치해 밝고 아늑한 공간으로 계획했다.한옥의 사랑채와도 같은 예비방은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된다. v\:* {behavior:url(#default#VML);} o\:*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shape {behavior:url(#default#VML);} <![endif] -->아이들을 위한 특별한 공간인 다락은 특히 채광에 신경 썼다. 놀이마당의 지붕은 서까래를 노출해 골조미를 부분적으로 강조했다.아이들을 위한 극장식 계단은 다락방으로 오르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구조와 시공 디테일_ 모악호수집의 매트기초는 철근콘크리트로, 집의 골격은 경량목구조로 지어졌다. 이 집의 경우 골조공사에서 지붕공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지붕선을 주변의 산들과 조화롭게 만들고 내부에서는 다락을 포함한 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비교적 복잡한 지붕 구조가 필요했다. 경량목구조의 지붕공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룻대와 조름보 대신, 규격 구조재를 조립해 제작한 조립보와 기둥을 이용해 지붕의 합각모서리를 내부공간에서도 그대로 인지할 수 있게 했고 다락공간과 극장식 계단, 주방, 식당으로 이어지는 열린 대공간을 실현할 수 있었다. <글·이세웅, 최연웅>HOUSE PLAN대지위치 / 전라북도 완주군대지면적 / 497㎡(150.60평)건물규모 / 지상 1층건축면적 / 177㎡(53.63평)연면적 / 167㎡(50.60평)건폐율 / 35.6%용적률 / 27.4%주차대수 / 2대최고높이 / 5.6m공법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지상 - 경량목구조구조재 / 벽 - 2 × 6 구조용 스터드 + OSB 11㎜지붕 - 2 × 12 구조용 서까래 + OSB 11㎜지붕재 / 컬러강판 0.5㎜단열재 / 외벽 - 그라스울 R-21, 지붕 - 그라스울 R-32외벽마감재 / 외단열시스템(오메가)창호재 / 필로브설계 / ㈜아파랏.체 + ㈜건축사사무소 BIG시공 및 기술자문 / TCM 글로벌현장관리 / 망치소리기계/설비/전기/통신 / ㈜정연엔지니어링주방가구 및 붙박이 / 목산아트라HOUSE SOURCES내부마감재 / 신한 실크벽지주방 벽면 마감재 / 무광 백색 타일(100×100㎜)주방기기 / 지멘스 식기세척기, 쿠첸 하이라이트욕실 타일 / 일본제품(100×100㎜)욕실 기기 / 이누스 변기, 아메리칸스탠다드 세면대, 대림 수전주방 수전 / 아메리칸스탠다드조명 / 자체제작 및 인터넷 구매(Lamp25, Light in the box.com)바닥재 / 구정 메이플 강마루현관문 / ㈜금만기업방문 / 화이트 ABS 도어데크재 / 방부목 데크, 오일스테인계단재 / 자작나무 합판, 수성스테인이세웅, 최연웅 건축가 2013년 설립된 건축사무소 ㈜아파랏.체의 공동대표로,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현 건축과)와 독일 슈트트가르트 건축대학 석사과정을 함께 거쳤다. 이세웅 대표는 뮌헨 소재의 건축사무소 알만자틀러바프너 아키텍텐에서 다양한 현상설계와 실시설계를 경험하고 독일건축사를 취득하였고, 최연웅 대표는 함부르크 소재 게어버 건축사사무소, 슈트트가르트에 위치한 불프 건축사사무소에서 다수의 공모전과 실시설계에 참여했다. 건축 환경이 노출되어야 하는 다양한 상황들에, 명료하지만 시적인 제안을 찾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전라북도 완주군 모악호수집, 서울시 연남동 고깔집, 거제시 망치펜션 등의 프로젝트들을 완료 또는 진행 중이다. 02-3141-2687 www.apparat-c.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39,180
RSS
검색
처음
이전
31
페이지
열린
32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Guest
로그인
회원가입